정가신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지공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정흥, 헌지, 문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24년(고종 11)
사망 연도
1298년(충렬왕 24)
본관
나주(羅州)
출생지
나주
주요 관직
보문각대제|승지|정당문학|첨의찬성사 세자이사|지공거|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
관련 사건
미상
정의
고려 후기에, 지공거,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나주(羅州). 전라도 나주 출생. 초명은 정흥(鄭興). 자는 헌지(獻之). 향공진사(鄕貢進士) 정송수(鄭松壽)의 아들이다. 어려서 승려 천기(天琪)를 따라 개경에 왔으나, 의지할 곳이 없다가 태부소경(太府少卿) 안홍우(安弘祐)의 데릴사위가 되었다. 정가신은 충렬왕충선왕대 주로 문한관을 역임하며 문장을 떨쳤고 외교관으로도 활약하였다. 아들로는 정탁(鄭倬) · 정전(鄭佺) · 정길(鄭佶) · 정억(鄭億) · 정엄(鄭儼)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해 요직을 여러 번 거친 뒤 1277년(충렬왕 3)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 정5품)에 임명되었다. 1280년(충렬왕 6) 첨의중찬(僉議中贊) 김방경(金方慶)이 퇴직하기를 청하자 승지(承旨)로서 왕명을 받아 이를 물리쳤다. 1290년(충렬왕 16) 세자가 원나라에 갈 때 세자의 스승으로서 민지(閔漬)와 함께 수행하였다. 같은 해에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최함일(崔咸一) 등 31명을 선발하였다.

1291년(충렬왕 17)에 정당문학(政堂文學, 종2품)이 되어 원나라에 가서 주1을 축하했으며, 첨의찬성사 세자이사(僉議贊成事世子貳師, 정2품)에 임명되었다. 1294년(충렬왕 20)에는 원나라의 성종이 한림학사 살자만(撒刺蠻)을 통해 고려가 귀부한 연월을 물어오자 정가신이 글로 답하였다. 1295년에 지공거가 되어 진사를 취하고, 강훤(姜萱) 등 27명을 급제시켰다.

1296년(충렬왕 22)에 왕이 상화연(賞花宴)을 향각(香閣)에서 베풀자 축하하는 시를 올렸는데, 왕은 도첨의낭사(都僉議郎舍)와 금내육관(禁內六官) 및 학관(學官)에게 명해 상화내연시(賞花內宴詩)를 써서 화답하였다. 1297년에 첨의중찬 판전리사사 세자사(僉議中贊判典理司事世子師, 종1품)에 임명되었다.

1298년(충렬왕 24)에 왕에게 글을 올려 첨의중찬으로 퇴관하기를 청했으나 허락하지 않고 5일에 한 번씩 조회에 참석하도록 하였다. 곧 벽상삼한삼중대광 수사공(壁上三韓三重大匡守司空)이 되었으나 얼마 되지 않아 갑자기 별세하였다.

성품이 정직하고 엄정해 일을 처리하는 데 법도가 있어 나라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했다고 한다. 정가신의 죽음에 대해서는 약을 먹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설이 있다. 거소에 편액(扁額)하기를 설재(雪齋)라 하고, 매일 현사(賢士) · 대부(大夫)로 고금(古今)을 의논하니, 벼슬이 대관에 올랐어도 행동은 서생과 같았다고 한다.

고려 호경대왕(虎景大王)으로부터 제24대 원종까지의 일을 기록한 역사서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을 찬집하였다. 그 밖에도 많은 사령(辭令)을 지었다. 정가신의 열전(列傳)『고려사』 권105에 실려 있다.

충선왕 묘정(廟廷)에 배향되었고,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후기 성리학 수용에 관한 연구: 원 간섭기 역사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이원명,『국사관논총』55, 1994)
「정가신과 민지의 사서편찬활동과 그 경향」(변동명,『역사학보』130, 1991)
주석
주1

성인(聖人)이나 임금의 생일을 경축하는 명절. 우리말샘

집필자
신안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