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진도지방 농요(農謠)의 하나. 진도는 전라남도의 서남단 다도해상에 위치하는 섬이지만, 중앙에 첨찰산(尖察山)이라는 얕은 산을 제외한 나머지가 넓은 평야로 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 들노래는 그 형식과 내용으로 볼 때 지산면을 중심으로 한 유형과 임회면을 중심으로 한 유형이 있는데, 이것은 진도의 지리적 조건에서 오는 현상이다. 즉, 과거의 교통사정으로 볼 때 지산면은 목포로 통하고, 임회면은 해남으로 통하기 때문에 서로 거리로는 가까우나 교류가 없는 상태에 있었다.
지산면의 들노래는 임회면의 들노래에 비하여 노래곡수가 조금 많고, 음악적인 면에서도 약간 세련되어 있다. 지산면의 노래를 바탕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논일을 하면서 부르는 모뜨는 소리에 ① 모뜨는 소리, ② 자진 모뜨는 소리가 있고, 못소리에 ① 못소리, ② 잦은못소리가 있으며, 절로소리에 ① 긴절로소리, ② 중절로소리, ③ 자진절로소리, ④ 길꼬냉이가 있다. 다음에 밭일을 하면서 부르는 소리로는 콩밭노래와 미영밭노래로 나눌 수 있다.
노래의 형식은 작업요(作業謠)이니만큼 선소리꾼이 독창으로 메기면 여러 사람들이 합창으로 받는다. 사설내용은 이 소리 저 소리에서 끌어대어 사용한다. 봄철에 논을 갈고 못자리에 모가 자라면 농민들은 품앗이로 여럿이 못자리에 나가 모를 찐다. 모를 찌면서 목청 좋은 이가 선소리꾼이 되어 모찌는 소리를 길고 구성진 가락으로 부르면, 여러 사람이 제창(齊唱)으로 후렴구를 받는다.
모찌는 소리를 이 고장에서는 ‘모뜨는 소리’라 부르며, 중모리장단에 맞춘다. 모판의 모를 다 찔 무렵에 자진 모뜨는 소리를 부르는데, 빠른 중중모리 또는 자진모리장단에 맞춘다.
모를 다 쪄서 물을 댄 논에 흩어놓으면 농민들이 꽹과리 · 장구 · 북 · 징 등의 풍물을 두드리며 온다. 농민들은 일렬로 늘어서서 모를 심고 북잡이는 논에 들어서서 왔다갔다 하며 북을 두드리는데, 이것을 ‘모북’ 또는 ‘못방구’ 친다고 한다.
북을 치는 사람은 옷 모양새가 다른 사람과 달라 머리에는 길다란 수건을 감고 그 위에 삿갓을 쓴다. 이 삿갓은 굉장히 커서 그대로 쓰고 있으면 앞이 안 보일 정도의 크기이고 거의 팔꿈치까지 덮는다. 이 삿갓을 쓰고 다른 지방과는 달리 북채를 양손에 쥐고 북을 친다.
이 때 좌우로 몸을 움직이면 삿갓이 물에 잠기게 되고, 이 물을 좌우로 뿌리면서 흥겹게 북을 친다. 이 모양은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못방구가 둥딱 둥딱궁 흥겹게 중모리장단을 치는 가운데 못소리를 한다. 이 지방에서는 모심는 소리를 ‘못소리’ 또는 ‘상사소리’라 부르는데 그 가락은 모뜨는 소리와 같다.
자진 모뜨는 소리는 모뜨는 소리에 잇대어 부르는데, 간식(間食:진도방언으로는 ‘술참’)을 차려놓았다든가 점심을 이고 오는 아낙네가 가까워온다든가, 또는 그날의 모심기가 거의 끝날 무렵이라든가 할 때에는 자진모리장단으로 빠르고 흥겹게 부른다.
모심기가 끝나고 벼가 자라면 김을 매게 된다. 김매기는 초벌 · 두벌 · 세벌 만두레와 같이 여러 차례를 매게 되는데, 농민들은 ‘두레’라 하여 김매기공동노동조합을 만들고 집단작업을 하게 된다.
두레에는 반드시 꽹과리 · 징 · 장구 · 북 등을 사용하고, 농기(農旗) · 영기(令旗) 등 울긋불긋한 깃발을 만들어 들고, 아침 일찍 논으로 나갈 때에는 마을 어귀에서 악기를 두드려 일꾼을 모아 <길군악> 가락을 행진곡 삼아 부르며 논으로 간다.
논에 이르면 논두렁에 농기를 꽂아놓고 김을 맨다. 쇠잡이 몇 사람이 풍장가락을 치는 가운데 농민들은 느린 진양조 장단에 맞추어 김매기소리인 ‘절로소리’를 부른다. 김매는 소리를 ‘절로소리’라고 한 것은 후렴구의 끝이 모두 ‘하 절로로야’로 끝맺고 있기 때문이다.
‘긴절로소리’에서 차차 흥이 무르익으면 ‘중절로소리’로 넘어가는데 중모리장단에 맞춘다. 중절로소리를 부르다가 간식이 나온다든가 점심때라든가, 또는 그날 논매기가 끝나갈 무렵에는 일손을 빨리 놀리기 위하여 자진모리장단에 맞추어 자진절로소리를 신나게 부른다. 이 자진절로소리를 일명 ‘풍장소리’라고도 부른다.
세벌 김매기(진도에서는 ‘만물’이라 하고, 육지에서는 ‘만두레’라고 한다.)가 끝나면 그 마을은 날을 받아서 술과 고기를 장만하여 즐기며 길꼬냉이를 부른다. 이 노래는 지춘상(池春相)의 발굴로 1971년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