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형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경주교수, 고성현령, 영덕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진주(晉州)
주요 관직
경주교수(慶州敎授)|고성현령(固城縣令)|영덕현령(盈德縣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경주교수, 고성현령, 영덕현령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하정발(河程拔)이며, 어머니는 조녕(趙寧)의 딸이다. 1471년(성종 2) 진사(進士)였는데 궐원(闕員)이 생기거든 서용하라고 명을 받았고, 이듬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7년(성종 8) 경상도감찰이 되었는데 중국에 사신으로 가는 행차에 포자(布子)를 부탁해 준 죄를 범하여, 좌죄(坐罪)되어 향리로 파출되자 유학(幼學) 이은(李誾) 등 33인이 다음과 같은 소를 올렸다.

“그의 학문이 정박(精博)하고 사람을 가르치는 데 게으르지 아니하여, 학도들이 소문을 듣고 떼지어 모여서, 때때로 문호(門戶)가 용납할 수 없을 적이 있었고 이로 인해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성인(成人)에 끼인 자도 한둘이 아닙니다. 지금 신 등은 제자(弟子)의 직분을 가지고, 거의 사숙(私淑)하여 성취(成就)하고자 의뢰한 지가 이미 여러 해가 되었으니 선비를 높이는 뜻을 중히 여기셔서, 특별히 다시 서용(敍用)하기를 허락해 주십시오.”라는 소를 올렸다.

이에 다시 서용되어 고신(告身: 신분사령증)을 돌려 받고 사유(師儒)가 되었다. 1482년(성종 13) 임원준(任元濬)·허종(許琮) 등과 함께 『소문충공집(蘇文忠公集)』의 난해(難解)한 곳을 주해(註解)하였다.

그러나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으로 배율시(排律詩) 10운(韻)이 관직방(館直房) 벽(壁)에 붙어 있는 것을 보고 곧 찢어 버렸다 하여 탄핵을 받고 의금부에서는 형장(刑杖)으로 신문하기를 청하였다.

이에 생원 권수평(權守平) 등이 다시 서용해 달라는 소를 올렸다. 1485년 경주교수(慶州敎授)를 지내면서 많은 제자를 길렀으며, 이듬해 고성현령(固城縣令)을 지냈고, 1490년 영덕현령(盈德縣令)을 지냈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