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형조참판, 경기관찰사,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후이(厚而)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청주(淸州)
주요 관직
형조참판|경기관찰사|한성부좌윤
정의
조선 전기에, 형조참판, 경기관찰사,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한치인(韓致仁)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69년(예종 1) 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이 되었고, 1471년(성종 2) 장악원 부정(掌樂院副正)으로 아마(兒馬) 1필이 하사되었다. 1474년에 왕대비의 명을 받고 행사직(行司直)으로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집에 가서 제사를 지냈다.

이듬해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임명되고, 1476년 동부승지로 선물을 태평관(太平館)에 가지고 가서 명나라 사신에게 선사하였다. 이어 통정대부 우부승지(右副承旨)를 거쳐 통정대부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다.

이듬해 병방승지(兵房承旨)·우승지(右承旨), 통정대부(通政大夫) 병조참의(兵曹參議)를 거쳐, 1479년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조참의가 되었다.

이듬해 통정대부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거쳐 성절사(聖節使)로 차정(差定)되었다. 그리고 입조(入朝)한 공으로 가자(加資)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장례원판결사(行掌隷院判決事),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장례원판결사(行掌隷院判決事) 서원군(西原君),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 표문(表文)을 받들고 북경에 가서 성절(聖節)을 하례하였다.

1481년 성절사로 북경에서 돌아온 뒤 별인정(別人情)으로 백저포(白苧布) 30필(匹), 흑마포(黑麻布) 30필, 인삼(人參) 20근이 하사되었다.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 표문(表文)과 전문(箋文)을 받들고 중국 북경에 가서 사은하였다.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북경에서 돌아와 중국 사정을 전한 뒤 가선대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이 되었다.

이듬해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표문을 받들고 북경에 가서 성절을 하례하고 북경에서 돌아온 뒤 가선대부(嘉善大夫) 형조참판(刑曹參判)이 되었다. 이듬해 가선대부(嘉善大夫) 경상도관찰사(慶尙道觀察使)가 되었는데, 1484년에 경상도관찰사로서 군자창의 곡식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기를 청하였다.

그 뒤 이듬해 동지사(同知事)가 되고 1486년 북경에 가서 성절을 하례하고 돌아왔다. 이듬해 가선대부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가 되었으나 곧 가선대부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가 되었다. 1488년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서원군(西原君) 겸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가 되었다.

1489년 가선대부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이 되었으나, 1491년 한성부좌윤을 사직하기를 청하였다. 이듬해 특진관(特進官)에 이어 가선대부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가 되었고, 1494년 가선대부 공조참판(工曹參判)이 되었다.

참고문헌

『예종실록(睿宗實錄)』
『성종실록(成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