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청 ()

목차
관련 정보
권왕문(권앙가, 자책가)
권왕문(권앙가, 자책가)
국악
개념
불교 포교의 한 방편으로 대중적인 민속음악에 교리에 관한 쉬운 사설을 얹어서 부르는 범패. 축원화청.
이칭
이칭
축원화청
목차
정의
불교 포교의 한 방편으로 대중적인 민속음악에 교리에 관한 쉬운 사설을 얹어서 부르는 범패. 축원화청.
내용

화청의 사설 종류는 다양하여 고승(高僧)이나 시승(詩僧)들이 얼마든지 창작해서 새로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축원화청(祝願和請)」 · 「육갑화청(六甲和請)」 · 「시왕지옥도권왕가(十王地獄道勸往歌)」 · 「팔상화청(八相和請)」 · 「자책가(自責歌)」 · 「서왕가(西往歌)」 · 「원적가(圓寂歌)」 · 「신년가(新年歌)」 · 「원불(願佛)」 · 「십악업(十惡業)」 · 「참선곡(參禪曲)」 · 「백발가(白髮歌)」 · 「왕생가(往生歌)」 · 「가가가음(可歌可吟)」 · 「신불가(信佛歌)」 · 「성도가(成道歌)」 · 「오도가(悟道歌)」 · 「열반가( 涅槃歌)」 · 「조학유(曺學乳)」 · 「전설인과곡(奠說因果曲)」 · 「지옥도송(地獄道頌)」 · 「방생도송(放生道頌)」 · 「아귀도송(餓鬼道頌)」 · 「인도송(人道頌)」 · 「천도송(天道頌)」 · 「별창권악곡(別唱勸樂曲)」 · 「권선곡(勸善曲)」 · 「선중권곡(禪衆勸曲)」 · 「명리권곡(名利勸曲)」 · 「재가권곡(在家勸曲)」 · 「빈인권곡(貧人勸曲)」 · 「수선권곡(修禪勸曲)」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화청의 사설은 소리하는 사람마다 들쭉날쭉하여 일정하지 않다. 즉, 즉흥적 요소가 매우 많다. 그러나 대개 경기지방에서는 처음 서두를 ‘지심걸청 지심걸청일회대중에 일심봉청…….’으로 시작하는 것이 상례이다. 화청은 주1 반주로 엇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며, 음계는 경서도창식으로 되어 있는데, 부르는 사람에 따라서는 동부지방의 민요조, 즉 메나리조로 부르기도 한다.

「축원화청」도 역시 화청의 일종이지만, 사설이 ‘공덕 공덕 상래소수불공덕…….’의 한문으로 그 첫머리가 고정되어 있고, 6박이 한 장단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엇모리로 된 화청과 다르다. 음계도 경기소리의 평조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화청(和請)과 고사염불(告祀念佛)」(한만영, 『장사훈박사회갑기념동양음악논총』, 한국국악학회, 1977)
「화청(和請)」(『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無形文化財調査報告書)』 65, 문화재관리국, 1969)
주석
주1

민속 음악에 쓰는 타악기. 놋쇠로 전이 없는 대야같이 만들어, 울의 한쪽에 두 개의 구멍을 내어 끈을 꿰고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음색이 부드럽고 장중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한만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