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해도지도(黃海道地圖)
황해도지도는 1872년에 전국 군현지도집 편찬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1872년 군현지도』 중 황해도 부분에 해당한다. 이 지도들은 군현지도 23장과 진지도(鎭地圖) 14장, 산성(山城)을 그린 지도 5장을 합하여 4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황해도지도는 각 군현에서 자체적으로 완성되었기 때문에 지도마다 표현양식이나 채색기법에서 편차가 크다. 제작 수준에 따라 지리정보를 전달하는 지도적 기능에도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지도의 내용은 사창(社倉)과 훼철된 서원(書院)이 그려지는 등 당시 흥선대원군 정권 아래에서 새롭게 시행된 정책들을 반영하고 있으며 읍치(邑治), 사찰, 면(面), 리(里), 동(洞), 산성, 령(領), 치(峙), 봉대(烽臺), 진(津), 포(浦), 창(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