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척화비 ( )

목차
관련 정보
가덕도 척화비
가덕도 척화비
근대사
유적
국가유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에 있는 조선후기 서양세력의 배척을 위해 세운 척화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가덕도 척화비(加德島 斥和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기념물(1993년 02월 01일 지정)
소재지
부산 강서구 성북동 34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에 있는 조선후기 서양세력의 배척을 위해 세운 척화비.
내용

1993년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크기는 가로 45㎝, 세로 16㎝, 높이 150㎝로 화강석에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않는 것은 곧 화친을 하자는 것이고 화친을 하자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니 이를 자손만년에 경고하노라. 병인년에 지어 신미년에 세움(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戒我萬年子孫 丙寅作 辛未立)”이라는 내용의 비문이 적혀 있다.

이 비의 설립배경은 외척의 세도정권을 약화시키고 새롭게 실권을 쥔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외정책 변화로 나타난 산물이다. 흥선대원군 정권은 국내적으로 국정쇄신을 통한 왕권강화정책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대외적으로 서구 자본주의의 제국에 대해 점차 쇄국정책으로 치달았다.

서구 제국의 천주교 승인과 통상 개방 압력은 흥선대원군 정권으로서 국내문제와 맞물려 복잡해진 난제를 해결해야만 하였다. 결국 대외문제는 병인, 신미양요라는 군사력 대결을 낳았으며, 나아가 쇄국정책으로 확정되는 계기가 되었다.

흥선대원군 정권은 자신들의 쇄국 의지를 모든 국민에게 알리고 경각심을 강화할 목적으로 전국의 중요 통로와 지점에 척화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이 척화비는 수군함정의 군항지였고 가덕청사가 있었던 성북동 선창마을갈마봉 동쪽 끝의 도로가에 방치되어 있었다.

이것을 한때 천가초등학교 교정으로 옮겨 학생들의 산 교재로 활용하다가 1991년 12월에 강서구청이 선창마을회관 앞에 다시 복원하였다.

참고문헌

『부산의 문화재』(부산직할시, 1993)
『부산강서구지(釜山江西區誌)』(부산직할시 강서구, 199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