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작성되었다. 현지에서는 ‘끼줄땡기기’라고 한다. 함안(咸安) 지방에서 전승되는 ‘거북이힘내기’와 같다. 정월대보름이나 칠월백중 때의 농한기를 이용하여 보(洑)를 고치는 일이나 농토를 고르는 일 등의 부역(赴役)을 걸고 겨룬다. ‘원래는 마을의 중앙을 흐르는 감내에서 게잡이를 하는데 좋은 자리를 먼저 차지하려고 하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게줄은 두 사람이 겨루는 소형의 줄에서부터 세 사람씩 한 조가 되는 6인용 줄, 다섯 사람씩 나누어 겨루는 10인용 줄, 20인용 줄 등이 있다. 줄은 질긴 새끼로 꼬아 중앙이 둥그렇고, 좌우에 곁줄이 달려 있다. 가운데 둥그런 부분은 새끼로 굵게 감았으며 그것을 중심으로 좌우에 줄을 달아 게 모양으로 보이게 하였다. 20인용 줄은 10명씩 두 패로 나뉘어 힘을 겨루는데, 각자 곁줄 속에 머리를 넣어 목덜미에 줄을 걸고 어깨와 허리에 힘을 주어 마치 소가 논갈이를 하듯 손과 발로 땅을 짚고 앞으로 당긴다.
진행과정은 먼저 이른 아침에 마을사람들이 풍물꾼과 더불어 ‘박씨할매사당’에 올라가 안녕과 번영을 축원하는 제사를 올리고, 곧 줄다리기 장소인 장승백이로 가서 다시 제사를 올린 뒤 ‘오토지신풀이’를 노래하면서 지신밟기를 한다. 지신밟기가 끝나면 줄다리기 장사를 뽑는 ‘농발이놀이’가 시작된다. 한 사람이 앉아서 두 사람을 옆으로 뉘어 양손으로 잡고 허리의 힘으로 일어나는 힘쓰기이다.
여기에서 뽑힌 가장 힘센 장사를 수농부(首農夫)로 삼고, 두 사람의 손가마에 태워 또 한바탕 놀게 된다. 이때 <밀양아리랑>을 부른다. 놀이꾼들은 지게를 지고 막대기를 두드리며 장단을 맞추는데 이를 ‘지게목발놀이’라 한다. 한참동안 놀다가 터빼앗기싸움을 시작한다. 이 놀이는 게줄당기기에 앞서 하는 놀이로서 줄다리기 때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수농부끼리 작은 2인용 줄을 목덜미에 걸어 당겨서 승부를 가린다.
승부가 나면 풍물꾼들이 흥겨운 가락을 치면서 양편 사람들을 모아 원형으로 주위를 한바퀴 돌게하고 곧 게줄당기기를 시작한다. 게줄은 보통 20인용 줄로 줄도감의 징소리를 신호로 당기기가 시작되며 100을 셀 동안만 당기게 된다. 승부는 중앙에서 줄을 많이 끌어간 쪽이 이기게 되는데 한 판으로 끝나는 수도 있고, 세 판을 하는 수도 있다. 뒷놀이는 ‘화동놀이’라고도 하며, 이긴 편이 진 편을 일으켜 함께 춤추며 논다.
이 놀이는 1920년대에 중단되었다가 1974년 이래로 복원, 전승되고 있는데 1982년 제23회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비로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감내게줄당기기는 2015년 12월 2일 유네스코 제10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기타 줄다리기 5건(기지시줄다리기, 영산줄다리기, 삼척기줄다리기, 남해선구줄끗기, 의령큰줄땡기기) 및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줄다리기 종목 등과 더불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