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초 ()

목차
관련 정보
감초
감초
식물
생물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내용

학명은 Glycyrrhiza uralensis FISCH. 이다. 뿌리는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시베리아 · 몽고 및 중국 북부에서 자라는 식물로, 조선시대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에는 함경도전라도에서 재배한다고 되어 있으나, 지금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줄기는 1m 정도로 곧추 자라며, 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간다.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모양겹잎이다. 작은 잎이 7∼17개씩 달리는데, 형태는 난형(卵形) 또는 넓은 난형이다.

꽃은 남자색(藍紫色)으로 7, 8월에 핀다.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중화작용을 하므로, 어느 자리에나 빠짐없이 끼어드는 사람을 일컬어 ‘약방의 감초’, ‘약재에 감초’, ‘탕약에 감초’라는 속담이 생겼다.

감미가 있는 글리시리진과 글라브릭산 · 슈크로즈 · 글루코즈 · 리퀴리틴 · 리코리시딘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은 디프테리아 독소, 파상풍 독소, 염산 코데인, 초산 스트리키닌, 뱀독 · 복어독 등을 해독하는 작용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이 있어 부종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글리시리진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려주어 혈압강하의 효과가 있으며, 담즙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진해작용 · 진통작용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궤양이 발생한 개에게 감초 달인 물을 복용시킨 결과, 궤양억제 효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방광결석에도 유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항암작용실험에서는 복수암 · 간암 등에 유의성 있는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임상적으로는 환자가 물변을 보고 소화가 안 되고, 식욕이 없으며 복부에 팽만감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위 · 십이지장 궤양에 1∼3주간 복용시킨 결과 통증이 없어지거나 감소하고, 대변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위장의 경련으로 복통이 심하고 입이 마르며 설사를 할 때에도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다.

또 전염성 간염에 감초 달인 물을 15∼20㎎씩 복용시킨 결과 13일이 지나자 황달이 없어지고 간종대(肝腫大)가 감소하였으며 통증이 없어졌다.

일반염증에도 효력이 있어서 인후염 · 구내염 · 유방염 등의 초기 증상에 좋은 치료효과를 낸다. 피부의 습진과 얼굴에 여드름이 심할 때는 금은화(金銀花)와 같이 달여서 복용한다.

감초는 평활근의 경련을 완화시켜 복통을 치료하고, 종아리 부분의 장딴지 근육[腓腸筋]에 경련이 있을 때도 효력이 있다. 또 선천성으로 몸이 강직된 증상이나 혈전성 정맥염(血栓性靜脈炎)에도 효력이 있다.

이 밖에 안질환의 점안약으로 사용하고, 겨울에 동상을 입었을 때에도 환부를 감초 달인 물로 세척하여 치료한다. 복부가 몹시 부풀어올랐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한방에서는 가장 용도가 많은 약재로, 대표적인 처방에는 자감초탕(炙甘草湯)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 · 감초길경탕(甘草桔梗湯) 등이 있다. 자감초탕은 심계항진으로 맥박이 일정하지 않을 때 복용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한약임상응용』(이상인·신민교, 성보사, 1982)
『傷塞論註釋』(癸丑文化社, 1981)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7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