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자 ()

목차
관련 정보
진도 구기자
진도 구기자
식물
생물
가짓과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
목차
정의
가짓과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
내용

구기자나무는 낙엽성 주1으로 능선이 있는 줄기는 보통 1∼1.5m 정도이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는 가시가 있다. 학명은 Lycium chinense Mill. 이다.

잎은 털이 없고 어긋나며 여러 개가 모여 나고, 톱니가 없는 주2 또는 난상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는 1㎝쯤 된다. 6∼9월에 자주빛 꽃이 잎의 겨드랑이에 1∼4개가 피며, 주3주4이고 끝이 다섯 갈래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주5이고, 8 · 9월에 붉게 익는다. 길이는 10㎜, 지름은 5㎜정도이다. 처음에는 달콤하나 나중에는 쓴 맛을 낸다.

건조시켰을 때에 겉이 쭈글쭈글하고, 속에는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씨는 편평하고 콩팥 모양이며, 지름이 약 2㎜ 정도이고 황백색이다. 열매의 모양과 색깔이 예쁘고 작아서 고서에는 ‘괴좃나무여름’이라고도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충청남도 청양군이 집산지이다.

성분은 주6 · 제아잔틴(zeazanthin) · 주7 · 주8, 비타민 A · B1 · B2 ·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을 실험한 결과, 베타인 성분은 생체내 대사물질의 하나인 주9로 밝혀졌다. 간장에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고 간세포의 신생을 촉진하며, 혈압을 내려주는 작용도 한다. 약성(藥性)은 평범하고 독이 없다.

효능은 주10 · 주11 등에 복용하면 염증이 제거되고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생식기능이 허약해서 허리 · 무릎이 저리고 아프고, 주12 · 주13 등의 증상에 유효하다. 안과질환으로 인한 시력감퇴 등에 효과가 있고, 노인의 주14 초기증상에 응용한다.

구기자를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기력이 왕성해지며, 다리 · 허리 등의 힘이 강해지고 세포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구기차(枸杞茶) 또는 구기주(枸杞酒)로 이용한다. 열이 있는 사람에게는 투여를 금한다. 한방에서는 주15로 사용되고, 대표적인 처방으로 주16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나무』(김진석·김태영, 돌베개, 2011)
『한약임상응용』(안덕균 외 역, 성보사, 1982)
『현대본초학』(고문사, 1972)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1982)
주석
주1

가을이나 겨울에 잎이 떨어지고 봄에 새잎이 나는, 잎이 넓은 관목. 관목은 높이가 주로 2미터 이내이고, 주 줄기가 불분명하다. 우리말샘

주2

달걀과 같은 모양. 우리말샘

주3

꽃부리

주4

대롱처럼 속이 비고 종처럼 생김

주5

다육과(多肉果)의 하나로 과육과 액즙이 많고 속에 씨가 들어 있는 과실. 감, 귤, 포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6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염기로서 시원한 단맛이 있는 물질. 어류의 근육에는 0.1% 이하로 존재하지만, 무척추동물인 오징어, 문어, 새우 따위의 근육에는 이보다 많이 존재한다. 메틸기 공여를 통하여 메티오닌 합성을 촉진하여, 항지간(抗指肝)과 항혈당, 혈압 강하, 시력 회복, 세포 복제 따위의 작용을 한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7

카로티노이드의 하나. 당근 뿌리나 고추에 많이 들어 있는 붉은빛 색소 물질로, 동물의 몸 안에서 비타민 에이(A)로 변한다. 우리말샘

주8

수용성 비타민 비 복합체의 하나. 탄수화물의 대사에 작용한다. 알의 노른자위나 소의 간 또는 쌀눈ㆍ효모ㆍ콩류ㆍ돼지고기 따위에 들어 있으며, 이것이 부족하면 식욕 감퇴ㆍ신경 불안ㆍ각기 따위를 일으킨다. 우리말샘

주9

지방에 가까운 물질

주10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간염. 우리말샘

주11

간의 섬유 조직이 많이 자라 굳어지면서 오그라들고, 표면에 이상한 융기가 생겨 울퉁불퉁해지는 병. 바이러스 간염이나 알코올의 과다 섭취가 주된 원인이며, 복수(腹水)ㆍ황달ㆍ체중 감소ㆍ빈혈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12

성교를 하지 아니하고 무의식중에 정액이 몸 밖으로 나오는 일. 수면 중 꿈을 꾸면서 사정하는 것은 생리적 현상이나 그 이외의 것은 병적 증상이다. 흔히 몸이 허약할 때 일어난다. 우리말샘

주13

여성의 질에서 나오는 흰색이나 누런색 또는 붉은색의 점액성 물질. 우리말샘

주14

수정체가 회백색으로 흐려져서 시력이 떨어지는 질병. 노화로 발병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나 상처를 입거나 당뇨병을 앓아서 발병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15

허약한 체질을 건강하게 만들고, 체력을 좋게 하는 약. 우리말샘

주16

육미환에 구기자와 감국을 더 넣어서 만드는 환약. 간신(肝腎)의 음(陰)이 부족하여 허리와 다리가 약하고 어지러운 증상에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안덕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