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화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이정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정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12년 그의 증손 능오(能吾)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序)는 없고, 권말에 최현필(崔鉉弼)과 능오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3에 시 369수, 가(歌) 1편, 서(書) 5편, 권4에 기 10편, 발 6편, 설·찬(贊)·명 각 1편, 잡저 7편, 권5에 축문 2편, 제문 21편, 상량문 3편, 전(傳) 1편, 묘갈명 2편, 권6에 부록으로 가장(家狀)·행장·묘갈명·지(識) 각 1편, 만사 50수, 후지(後識)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자연경치를 읊은 것이 많다. 잡저 중에 「인신이자설(忍愼二字說)」은 인(忍)과 신(愼)이 공부하는 데 중요함을 말하였다.

「심경강의(心經講議)」는 인심(人心)이 도심(道心)을 따라야 함을 설명하고, 예(禮)와 악(樂)이 공부에 중요함을 말하였다. 이와 함께 예는 경(敬)을 위주로 하고, 악은 조화〔和〕를 위주로 삼는 것이어서, 사람은 이 둘에서 잠시도 떨어져 있어서는 안 된다고 논하였다.

집필자
양홍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