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농악 ()

목차
관련 정보
농악 / 다리밟기
농악 / 다리밟기
국악
작품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지방에 전승되는 농악.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지방에 전승되는 농악.
내용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원도특별자치도 태백산맥 동쪽의 농악적 특색을 지니는 대표적인 농악이다. 강릉지역에서는 정월대보름에 답교농악, 정초에 걸궁농악, 김매기에 김짜기(두레)농악 등 여러 농악이 전승되고 있었다.

1961년부터 전국 민속경연대회에 여러 차례 출연하여 입상하면서 널리 알려져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1998년 현재 박기하(朴基河, 상쇠)와 김용현(金龍泫, 부쇠)이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농악편성은 농기수 · 쇄납 · 상공원(상쇠) · 부쇠 · 삼쇠 · 징수 · 장고수 · 큰북수 · 소고수 · 법고수 · 무동화동(중애) 등으로 되어 있다. 쇠잽이와 법고수는 벙거지를 쓰고, 나머지는 고깔을 쓰는 것이 원칙이나 지금은 무동만 고깔을 쓴다.

잽이는 색띠를 띠고 무동은 붉은 치마, 녹색 저고리에 남색 쾌자를 걸친다. 쇠가락은 일채(천부당만부당) · 삼채 · 굿거리 · 길군악칠채 · 길농이가락 등이 있는데, 요즈음에는 길군악칠채를 치는 일이 드물고 신식 길놀이가락을 치는 일이 있다.

판굿은 멍석말이 · 황덕굿 · 황덕굿무동놀이 · 황덕굿법 고놀이 · 진놀이 · 농사풀이 · 단동고리 · 삼동고리 · 법고춤 · 열두발상모 등이 있는데, 요즈음에는 동고리서는 일이 드물고 그 대신 농사풀이를 많이 한다. 농사풀이는 갖가지 농사짓는 동작을 춤으로 연행한다.

강릉농악은 법고와 소고가 구별지어지고 무동이 많이 편성되는 것이 다른 농악과 다르다. 법고 · 소고 · 무동의 춤이 판굿의 주를 이룬다. 쇠가락이 소박하고 매우 빨라서 전국에서 가장 빠른 농악으로 꼽히고 있으며, 대부분의 춤을 달리듯 추기 때문에 매우 씩씩하고 활기차 좋으나 느긋느긋한 진멋이 없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농악·풍어제·민요편-』 13(문화재관리국, 1982)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