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마꾼 (꾼)

목차
관련 정보
안릉신영도
안릉신영도
사회구조
개념
사람이 탄 말이나 당나귀를 끄는 마부.
목차
정의
사람이 탄 말이나 당나귀를 끄는 마부.
내용

견마(牽馬)는 경마의 취음(取音)이다. 조선시대의 사복시(司僕寺)에 소속되어 왕·세자·군의 경마를 잡던 견마배(牽馬陪)에서 유래되었다. 견마배는 중종 때에 잡직 종7품을 받았고, 거덜[巨達]이라고도 하였다.

견마는 원칙적으로 문무관에게만 허용되었으나, 민간에서도 성행하여 조선 말기까지도 양반이 출입을 할 때에는 반드시 과하마(果下馬)라도 타고 다녀야 체면치레가 되었다. 과하마를 탈지언정, 또한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것이 견마꾼이어서 편발의 동자라도 견마를 잡히었다. 그러나 원행을 해야 할 때에는 마방에서 세마(貰馬)를 이용하는 예가 많아서 세마를 낼 경우 말과 함께 따라오는 것이 견마꾼이었다.

이들 견마꾼들은 나그네가 가야 할 신지(信地)까지의 지리까지도 훤하게 꿰고 있었기 때문에 매우 편리했다. 여울을 많이 건너야 할 경우 월천꾼에게 품삯을 따로 지불하지 않아도 되었기 때문에 노수(路需)를 줄일 수 있었다. 이들은 사람뿐만 아니라 등짐을 운반해 주는 모꾼이 되기도 하였고 가마꾼이 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