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서유초 ()

경서유초
경서유초
유교
문헌
경서에서 중요 어구를 뽑아 종류별로 분류한 유서(類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서에서 중요 어구를 뽑아 종류별로 분류한 유서(類書).
서지적 사항

편자와 간행 연대는 미상이다. 활자본·필사본·목판본이 있다. 활자본은 1책, 필사본은 4책으로 부록을 갖추고 있으며, 목판본은 5권 3책으로 역시 부록을 갖추고 있다. 내용은 같고 다만 목차의 순서가 약간 다르며, 필사본에는 권두에 어제서문(御製序文)이 있으나 목판본에는 없는 것으로 보아 목판본을 대본으로 필사본이 작성된 듯하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목판본은 상·중·하로 구분되어 있다. 상권에는 천도부(天道部)·지리부(地理部)·인륜부(人倫部)·군도부(君道部)·후비부(后妃部)·복서부(卜筮部)의 6부, 중권에는 치화부(治化部)·신도부(臣道部)·용인부(用人部)·출처부(出處部)·상형부(賞刑部)·군려부(軍旅部)의 6부, 하권에는 민생부(民生部)·농상부(農桑部)·공부부(貢賦部)·재화부(財貨部)·주식부(酒食部)·황음부(荒淫部)·음악부(音樂部)·제사부(祭祀部) 등 15부, 부록에는 성행부(性行部)·진수부(進修部)·성현부(聖賢部)·도학부(道學部)·계고부(稽古部) 등 5부로 구성되어 있다.

천도부에는 천(天)·경천(敬天)·천지(天地)·일월·춘하추동 등 주로 하늘과 자연 현상에 관한 내용들이 있고, 지리부에는 땅·산·천·치수·도읍·성곽 등과 같은 내용이며, 인륜부에는 부모·사친·양친·자손·형제·부부 등의 도리를 규정하고 있다. 군도부에서는 임금·제후·봉건·교린(交隣) 등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고, 후비부에는 후비·정실과 후실[嫡妾]·궁음(宮淫)·궁원(宮怨)의 내용이 있으며, 복서부에는 복서와 꿈에 관한 것이 있다.

치화부에서는 교육이나 풍속의 교화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는데, 학교·풍속·인정(仁政)·정사(政事)·법도·예악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신도부에는 신하의 도리와 신하와 임금의 관계 등을 규정한 군신(君臣)·재상(宰相)·목민(牧民)·사신(使臣) 등의 내용이 있다. 용인부에는 사람을 쓰는 것과 어진 사람을 대하는 도리를 규정하고 있는데, 용인(用人)·구현(求賢)·대현(待賢)·용현(用賢) 등의 내용이 있다. 출처부에는 벼슬에 나아가는 것에 대한 도리를 규정하고, 상형부에는 상벌의 도리에 관해 규정하고 있다. 군려부에는 군대·전쟁·도적 등에 관한 내용으로 장수(將帥)·방어(防禦)·전승(戰勝)·천토(天討)·정벌·군량·도적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복잡하게 엮어진 많은 경전(經傳) 가운데 산재해 있는 깊은 이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배우는 학자들에게 시간적인 편익을 주기 위해 만든 것이다. 부록까지 총 210항목에 대한 색인으로 경서 전반에서 뽑은 것이며, 경서의 분야별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는 자료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