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환계타령’ 혹은 ‘김계화’라고도 한다. 사당패들이나 잡가 소리꾼들이 널리 부르던 것이나, 지금 육지에서는 듣기 힘들고 제주도에서도 성읍지방에 전승되고 있다.
곡명은 이 소리의 첫마디에 나오는 김계화라는 기생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후렴을 가진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되어 있고, 매절의 끝에는 “옛다 요년 돈 받아라. 계화는 삼경이 들고서 김계화 내돈만 받아라.”라는 후렴이 뒷소리같이 절마다 붙는다.
장단은 3분박 좀 느린 4박자로 되어 중중모리장단이나 볶는타령장단에 맞는다. 한 절은 대개 7장단으로 되어 있다. 선율구성음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미·솔·라·도·레’로 되어 있고, ‘라’로 마치고, 종지선율형(終止旋律型)은 ‘라·미·라’로 되어 있어 메나리토리와 비슷하다.
그러나 대체로 선율은 ‘라·솔·미·레’로 구성되기 때문에 경기도 지방의 평조에 가까운 경토리로 들린다. 경쾌한 음악으로 노랫말은 후렴을 제외하면 내용과 절수가 일정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