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화타령 ()

목차
국악
작품
제주도 성읍(城邑)지방에 전승되는 민요.
이칭
이칭
환계타령, 김계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제주도 성읍(城邑)지방에 전승되는 민요.
내용

일명 ‘환계타령’ 혹은 ‘김계화’라고도 한다. 사당패들이나 잡가 소리꾼들이 널리 부르던 것이나, 지금 육지에서는 듣기 힘들고 제주도에서도 성읍지방에 전승되고 있다.

곡명은 이 소리의 첫마디에 나오는 김계화라는 기생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후렴을 가진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되어 있고, 매절의 끝에는 “옛다 요년 돈 받아라. 계화는 삼경이 들고서 김계화 내돈만 받아라.”라는 후렴이 뒷소리같이 절마다 붙는다.

장단은 3분박 좀 느린 4박자로 되어 중중모리장단이나 볶는타령장단에 맞는다. 한 절은 대개 7장단으로 되어 있다. 선율구성음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으로 표시한다면 ‘미·솔·라·도·레’로 되어 있고, ‘라’로 마치고, 종지선율형(終止旋律型)은 ‘라·미·라’로 되어 있어 메나리토리와 비슷하다.

그러나 대체로 선율은 ‘라·솔·미·레’로 구성되기 때문에 경기도 지방의 평조에 가까운 경토리로 들린다. 경쾌한 음악으로 노랫말은 후렴을 제외하면 내용과 절수가 일정하지 않다.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음악』-제주도민요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제주도무악연구」(한만영, 『한국음악연구』8·9 합병호, 한국국악학회, 197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도편-」(문화재관리국, 1974)
「제주도민요의 작곡학적연구」(나운영, 『연세논총』9, 연세대학교,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