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후등록 ()

목차
관련 정보
계후등록
계후등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예조 계제사에서 양자의 허가증명서인 예사 발급사실을 연도별로 기록한 역사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예조 계제사에서 양자의 허가증명서인 예사 발급사실을 연도별로 기록한 역사서.
내용

20책. 필사본. 1618년(광해군 10)부터 1862년(철종 13) 사이 예조의 계제사(稽制司)에서 만들었다. 현존하는 것은 모두 10책에 불과하다.

조선시대 후사(後嗣)가 없는 자로서 양자를 두고자 하는 경우 예조에 정장(呈狀)을 올려 예사를 발급받아야 하였는데, 그 문서의 형식은 “직역(職役) 누구가 적첩(嫡妾) 모두 자식이 없어 동성(同姓) 아무개의 아들로써 뒤를 이을 것을 친족 누구누구와 의논하여 장(狀)을 올려 뒤를 잇게하고자 한다.”고 하면, 예조의 담당승지가 맡아 처리하도록 되어 있었다.

또, 계후(繼後 : 뒤를 잇게하는 것)하는 사람은 신분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계층에 걸쳐 있었으며, 양자로 입적하는 사람은 동성의 한 항렬 아래로 규정하였고, 처첩의 아버지를 위하여 계후하는 예, 또는 당대의 봉사만을 위하여 계후하는 예도 있었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양홍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