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헌집 ()

목차
관련 정보
고헌집
고헌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내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내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활자본. 1898년(고종 25) 이종기(李鍾杞)·장승택(張升澤)이 교본하고, 손자 윤화(允和)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기·장승택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223수, 애사 2편, 권2∼4에 서(書) 133편, 권5·6에 서(序) 25편, 기 11편, 발 3편, 서후(書後) 7편, 설 5편, 잠 6편, 명 5편, 변 3편, 잡저 1편, 권7·8에 행장 10편, 묘갈명 16편, 묘지명 3편, 묘표 3편, 고문(告文) 4편, 축문 1편, 봉안문 2편, 상량문 1편, 제문 7편 등이 있다.

시는 자연경물을 읊은 것과 서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많다. 서(書)는 학문하는 자세와 성리학에 관하여 주고받은 내용이 대부분인데, 향약을 만들기 위하여 친지들과 여러 차례 교신한 것도 있다.

설 가운데 「심통성정합이기설(心統性情合理氣說)」은 이황(李滉)의 기수이승설(氣隨理乘說)을 이발기발(理發氣發)의 뜻이라고 설명하고, 이는 주자(朱子)도 말하지 못한 것을 밝힌 것이라고 하였다. 「경의재명도설(敬義齋銘圖說)」과 「수신도설(修身圖說)」은 수신하는 데 있어서 경(敬)이 중요함을 설명하고,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잠에는 경(敬)·의(義)·겸(謙)·묵(默) 등에 관한 것이 있다. 변에는 「변무록(辨誣錄)」·「집중설변(執中說辨)」·「이지모양이유본원변(理之貌樣理有本原辨)」 등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양홍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