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송 ()

목차
관련 정보
과송
과송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윤득부가 왕명에 의하여 이황의 『고경중마방』 중에서 요체를 발췌하여 1797년에 편찬한 수양서. 잠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윤득부가 왕명에 의하여 이황의 『고경중마방』 중에서 요체를 발췌하여 1797년에 편찬한 수양서. 잠언집.
내용

1책. 필사본. 1797년(정조 21) 왕자의 일과 독송을 목적으로 엮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성탕(成湯)의 반명(盤銘), 무왕(武王)의 석사단명(席四端銘), 『예기』의 구용(九容)·구사(九思) 등 경전 중에서 수양에 필요한 글을 뽑아 실었다. 또, 장재(張載)의 육유(六有), 범준(范浚)의 심잠(心箴),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육선생화상찬(六先生畫像贊), 장식(張栻)의 주일잠(主一箴), 진백(陳柏)의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등의 글을 수록하였다.

그밖에 규장각 도서로 표제에 『고경중마방초(古鏡重磨方鈔)』라고 된 단권의 필사본이 있는데, 편자와 연기는 알 수 없고 발췌한 내용도 『과송』과는 조금 다르다. 그러나 이 두 책은 모두 송나라 성리학자들의 잠(箴)과 명(銘)이 많으며, 내용도 심성의 수양에 관한 것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