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관모는 그 자체가 장식적 형태와 종교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관을 구성하는 요소의 일부가 되는 것은 관식이라고 할 수 없다. 예컨대, 경주에서 출토되는 금제관(金製冠)의 ‘出’자형 또는 녹각형(鹿角形) 입화(立華) 장치는 관의 일부로 보아야 한다.
따로 부착된 곡옥(曲玉)이나 영락은 장식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선사시대인들은 관식으로 볼 수 있는 분명한 유물은 없으나, ≪삼국지 三國志≫ 부여전(夫餘傳)에 의하여 금과 은으로 장식한 관모를 썼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문화의 급속한 발달과 고대국가의 체제를 갖추게 되면서 관모와 관식이 찬란한 발전을 하였다.
조우식(鳥羽飾) · 금은화식(金銀花飾) 등은 가장 뚜렷한 예이다. 조우식은 삼국시대의 여러 사회에서 관모에 장식하는 새깃을 말하는 것으로 삼국에서 모두 볼 수 있다.
고구려의 조우식에 관하여는 ≪북사 北史≫ 고구려전, ≪구당서 舊唐書≫ 고려전에 보이는데, 고구려 사람은 모두 고깔모양의 절풍(折風)을 썼고 벼슬자리에 있는 사람은 여기에 두개의 새깃을 꽂아 귀천의 차를 구별하였다 한다.
이와 같은 문헌에 나타나는 조우식의 실례를 통구(通溝)지방의 무용총, 용강(龍岡)의 쌍영총, 노산리(魯山里)의 개마총(鎧馬塚) 등의 고구려시대 고분벽화에서 볼 수 있다.
백제의 조우식은 유물이나 그림이 남아 있지 않으나, 고구려와 같이 절풍을 썼고 새깃을 장식한 조우관(鳥羽冠)이 있었음을 ≪북사≫ 열전 백제조의 기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신라 · 가야의 조우식에 관하여는 문헌에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고분에서 발견되는 새의 날개를 상징한 여러 가지 형태의 금속제품을 조우식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유물이 실제로 관에 부속되어 착용되었는지에 대하여는 다른 주장이 있다. 그러나 조류숭배의 원시신앙에 근거하여 제작되었으리라는 추측이 일반적인 통설이다.
이러한 유물들은 금제 · 은제 등 대체로 귀금속으로 제작되었으며, 경주지역 고분에서의 출토품이 가장 호화로우며 지방으로 갈수록 빈약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조우식이 송사(送死)의 뜻이 담겨 있다고 하면, 용호동(龍湖洞)1호분의 고구려고분과 경주 금관총(金冠塚)의 신라고분에서 발견된 동일한 형태의 조형(鳥形) 금동판(金銅板)도 그러한 뜻에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와 백제에서는 관모에 귀금속으로 제작된 금은화식을 가하는 관습이 있었다. ≪수서 隋書≫ · ≪구당서≫ 등에는 고구려 귀인(貴人)은 자라관(紫羅冠) · 청라관(靑羅冠) · 비라관(緋羅冠) 등에는 금은으로 장식하였고, 백제는 비단으로 만든 관에 금화장식 또는 은화장식 등이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특히, ≪구당서≫ 백제전에는 왕은 오라관(烏羅冠)을 썼는데 금화로 장식하였고, 벼슬에 있는 사람은 관을 은화로 장식하였다고 하였다. 공주시 금성동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과 왕비의 금화관식(金花冠飾)은 ≪구당서≫ 백제전의 기록을 뒷받침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양직공도 梁職貢圖≫ 중 백제사신의 관을 은화식관(銀花飾冠)으로 보기도 한다. 이렇듯 매우 다양하고 화려한 모습을 보여주는 관식은, 관모를 아름답게 장식하고자 하는 미술적 의장의 표현인 동시에 고대사회의 신앙 · 사상을 표현하는 것이었다.
통일신라시대 이후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으면서 고대사회의 전통적이고 고유한 관식은 그 면모와 품격을 달리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