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하남시 동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2단 기단에 5층의 탑신을 올린 불탑. 석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河南 桐寺址 五層石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기 하남시 춘궁동 466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하남시 동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2단 기단에 5층의 탑신을 올린 불탑. 석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7.5m. 2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이 있는데, 상륜부는 일반적인 법식을 따른 노반(露盤: 탑의 최상부 옥개석 위에 놓아둔 장식)만 남아 있다.

기단은 여러 개의 판석으로 구성된 지대석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대석 윗면에는 1단의 굄이 있어 중석을 받치게 되어 있다. 중석도 수매의 판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면에는 우주(隅柱)와 탱주(撑柱)가 얕게 모각되어 있다.

중석의 남쪽 면이 파손되어 내부 중심에 높이 1.1m, 너비 0.93m의 거대한 찰주석(擦柱石: 탑의 중심기둥 돌)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갑석(甲石)은 4매의 판석으로 되어 있으며, 밑에는 부연(副椽: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 윗면에는 탑신 굄대가 모두 낮게 표시되어 있다.

윗면은 현저한 경사를 이루며, 우동(隅棟: 탑 옥개석의 귀마루)이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탑신부의 구조는 특이하여 1층 옥신은 갑석 위에 네 개의 방형석(方形石)으로 1단을 만들고, 그 위에 1판석을 얹어놓은 2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2층 이상의 옥신은 각각 1석으로 체감률이 강한 편이고, 1층 옥신을 비롯하여 각 층의 옥신에는 모두 우주 모양이 얕게 모각되어 있다. 옥개석은 1층부터 3층까지는 4판석으로 조성되어 있고, 4층은 2판석, 5층은 1판석으로 되어 있다.

옥개 아랫면의 받침은 1층이 5단, 2층부터 4층까지가 4단, 5층이 3단으로 차례로 줄어들었고, 상층에 이를수록 옥신을 따라 급속한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각 층의 추녀 밑은 수평을 이루었고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나, 우동은 뚜렷하며 전각의 반전도 경쾌하다.

층마다 옥개석 윗면에 1단의 굄이 있어서 각 층의 옥신을 받치게 되어 있다. 이 탑은 신라 석탑의 양식을 이어받은 정사각형 석탑으로, 1층의 옥신이 2단으로 이루어진 점이 특징이다. 이것은 신라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양식으로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과 같은 양식이다.

각 부의 결구(結構)는 규율성이 있고 탑신부의 각층 비례도 조화를 이루어, 아직도 격을 잃지 않은 우수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건립 연대는 고려 중기일 것으로 생각된다. 1965년 12월∼1966년 1월에 삼층석탑과 함께 보수공사를 할 때, 2층 기단임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 : 정밀실측조사보고서』(하남시, 2017)
『(보물편)문화재대관:석조』(문화재청, 2004)
『역사도시 하남』(하남시사편찬위원회, 하남시, 2001)
『문화재대관』4 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6.탑파(진홍섭 편, 예경산업사, 1983)
「河南 春宮洞 3層과 5層石塔의 建立 時期와 意義」(嚴基杓, 『先史와 古代』 34, 한국고대학회, 2011)
「하남지역 나말여초(羅末麗初) 유적(遺蹟) 연구」(황보경, 『先史와 古代』 21, 한국고대학회, 2004)
「춘궁리량탑내발견유물과 보수개요」(김희경,『고고미술』68, 196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