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 )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좌측 후면과 석조보살좌상 정측면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 좌측 후면과 석조보살좌상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신복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조성한 3층 불탑. 보물.
이칭
이칭
심복사(尋福寺)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강원 강릉시 내곡동 403-2번지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신복사터에 있는 고려시대 화강암으로 조성한 3층 불탑. 보물.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신복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이 탑은 일반형 석탑과 같이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세우고 그 위에 상륜부를 올려놓은 형식인데, 탑신 밑에 괴임돌을 삽입하는 고려시대 석탑에서 볼 수 있는 특수한 양식을 보이고 있다.

최근 2005년의 발굴조사에서 삼층석탑 북쪽에 금당지가 있고, 좌우측에 회랑지가 있는 등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용

화강암제의 이 석탑은 높이가 4.55m이며, 각 부의 가구수법에 있어서 특이한 점을 보이고 있다.

기단부는 지대석 위에 형성되었으며, 지대석은 1매의 판석으로 조성되었는데 상면에는 복엽(複葉)의 복판(覆瓣)이 조각된 연화대(蓮華臺)가 마련되었고, 다시 1단의 각형 받침을 만들어 기단부를 받치고 있다.

이 지대석의 연화문은 1변에 6판씩 도합 24엽이 조식되었는데, 판내에 별다른 장식문양이 없으며, 다만 네 모서리 연화문에는 귀꽃문양이 조각되어 지대석을 화사하게 꾸미려는 장식적인 의장을 엿보게 하고 있다.

하층 기단은 낮은 면석 각 면에 3구씩의 안상을 오목새김하고, 그 위에 1매의 판석으로 된 넓직한 갑석을 덮었는데, 상면은 약간의 경사가 있으므로 네 귀에서는 자연히 합각선(合閣線)이 뚜렷해졌으며 내면에 낮은 각형과 높직한 호형(弧形), 그리고 낮은 1단의 각형 등 3단의 받침대를 마련하여 상층 기단을 받치고 있다.

상층 기단은 면석이 그대로 하층 기단 갑석 위에 놓여진 것이 아니라 하층의 괴임돌 위에 구성되었다. 하층 기단 갑석과 상층 기단 면석 사이에 끼워져 있는 이 괴임돌은 2매의 판석으로 되었는데 하면은 밑으로 들어가면서 완만한 곡선을 이룬 듯한 부연형(副椽形)이 새겨졌고, 상면은 낮은 각형과 높직한 호형, 낮은 또 한 단의 각형 3단 받침대를 마련하여 상층 기단 면석을 받고 있다.

상층 기단 면석은 하층 기단보다 훨씬 높으며 2매석으로 구성된 면석의 각 면에는 양쪽 우주(隅柱: 모서리기둥)가 모각(模刻)되었다. 상층 기단 갑석도 2매석으로 만들었는데 하면에는 상층 기단 괴임돌과 같이 완만한 곡선의 부연형이 새겨졌고 상면은 2단의 각형과 1단의 호형이 있는 받침대로써 탑신부를 받게 되었으나, 이 갑석과 탑신부 사이에는 한 층의 괴임돌이 끼워져 있어 주목된다. 이 괴임돌은 2매의 판석으로 되었는데 하면에는 곡선을 이룬 부연형이 새겨지고 상면에는 약간의 경사가 있어 네 귀의 합각이 뚜렷하며 중앙부에 각형 2단의 받침대를 마련하여 탑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이 각기 1석씩이고 2, 3층에서는 옥개석 정상에 1매의 방형 판석을 괴임돌로 놓아 그 위에 위층의 탑신석을 받치도록 되었는데, 이 굄돌은 그 윗부분의 탑신석만큼 중후하여 각 층의 탑신부는 각 부재들로 인해 매우 화려하다.

초층 탑신은 양쪽에 우주가 있고 2, 3층도 같은 형식인데 초층에만은 한쪽 면에 장방형의 감실이 오목새김되었다. 그리고 초층 탑신석의 높이는 높직하나, 2층부터는 급격히 줄어서 매우 낮고 평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옥개석도 또한 평박한 편으로 3층이 모두 같은 형태인데 하면에는 3단의 각형 받침이 마련되었다. 낙수면의 경사는 급한 편이 아니나, 네 귀의 합각선은 예리하다. 추녀는 수평으로 전개되고 네 귀 전각의 반전도 경쾌한데, 이러한 옥개석의 형태는 곧 전형적인 신라시대 석탑의 탑신부를 연상하게 한다.

상륜부는 전 부재가 완전히 남아 있어서 3층 옥개석 위에 각기 1석씩으로 조성된 노반(露盤) · 복발(覆鉢) · 앙화(仰花) · 보륜(寶輪) · 보주(寶珠) 등의 부재가 순서대로 놓였는데, 어느 부분이나 평박하며 앙화석의 앙련판 내에는 장식이 있는 연화문이 조식되었다.

특징

이 석탑의 각 부재는 높이에 비하여 기단이 넓어서 안정된 감을 주며, 층마다 끼여 있는 별개의 굄돌로 인하여 전체의 균형은 어느 정도 잡히는 듯하다. 이와 같이 별도의 판석을 끼우는 수법은 고려시대 석탑에서 많이 볼 수 있어 이 시대 석탑의 하나의 특징이 된다. 그러나 이처럼 층마다 굄판석이 삽입된 유례는 드물어 목조 건축에서 볼 수 있는 난간의 퇴화된 형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 탑 앞에는 머리에 원통형의 높은 보관을 쓰고 탑을 향해 공양하는 모습으로 왼쪽 무릎을 세우고 꿇어 앉아 있는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상(보물, 1963년 지정)이 있다. 이러한 보살상은 연산 개태사(開泰寺) 석조공양자상이나 오대산 월정사(月精寺)의 석탑 앞에 놓인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과 같은 형식으로 모두 고려시대에 조성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석탑은 고려시대의 독특한 이중기단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석탑으로 전 부재가 잘 남아 있어 매우 가치가 높으며, 석탑 앞에 공양자상이 조성된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과 함께 이 지역의 독특한 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강릉(江陵) 신복사지(神福寺址)』(강원문화재연구소·강릉시, 2007)
『신복사지 시굴조사 보고』(지현병·홍순욱, 강릉대학교박물관, 1996)
『문화재대관』보물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국보』탑파(진홍섭, 예경산업사, 1983)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