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6m. 단층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세웠으며,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 탑의 최상부 옥개석 위에 놓아둔 장식), 복발(覆鉢: 탑의 노반 위에 놓은 바리때 모양의 장식), 찰주(擦柱: 탑의 중심기둥)가 남아 있다.
기단면석은 자연석에 가까운 큼직한 방형석(方形石)으로 우주(隅柱)나 탱주(撑柱)가 표현되지 않았다. 갑석(甲石)은 매우 좁은 2매의 판석으로 되어 있는데, 아래 면에는 형식적인 부연(副椽: 탑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이 있으며 윗면은 경사가 뚜렷하다. 갑석 중앙에는 역시 형식적인 2단의 굄이 모각되어 있다.
탑신부는 1층 옥개석(屋蓋石)이 2매일 뿐, 옥신(屋身)이나 다른 옥개석은 모두 1매씩이다. 각층 옥신에는 옥신의 넓이에 비하여 좁은 우주를 새겨 형식적인 느낌을 주며, 각 층의 체감 비율도 고르지 않아 매우 소략해보인다.
옥개석은 일반형 석탑의 옥신과 옥개석의 비례를 따르지 않고 급격하게 좁아져 석탑 전체의 균형을 깨뜨렸다. 옥개받침은 각 층 5단씩이지만 추녀가 짧아서 6단 받침 같아 보인다. 추녀 밑은 수평이고 윗면의 경사는 매우 급하며 전각(轉角)의 반전(反轉)도 거의 없는 편이다. 옥개석 정상면에는 낮은 굄 1단씩을 모각하여 그 위층의 옥신석을 받치고 있는데 이것 또한 형식적이다.
상륜부에는 노반과 복발·찰주가 남아 있는데, 노반은 6층 옥개로 착각하리만큼 큼직하고, 복발은 조각이 없는 반구형(半球形)이다. 정상에 찰주가 남아 있는 것은 드문 예이다.
5단의 옥개석 받침과 직선의 추녀는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양식을 따른 것이지만, 낙수면의 급경사와 각 부 굄대의 형식화, 우주의 모각과 석재의 다듬기가 고르지 못하고 소략한 것 등은 조형 감각의 둔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건립 시기가 통일신라시대보다는 내려감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석탑의 뒷면에는 석굴로 추정되는 곳이 있고 앞면에는 석등이 있어 큰 사원이 있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석굴로 추정되는 곳에는 충주 미륵리 석조여래입상(보물, 1963년 지정)이 있다. 석굴사원은 고려 초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석탑은 고려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