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취당집 ()

목차
관련 정보
교취당집
교취당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학자 이현의 시·소·문·별곡 등을 1581년에 필사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학자 이현의 시·소·문·별곡 등을 1581년에 필사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필사본. 1581년(선조 31)에 오봉자(五峰子)가 필사하였으며, 그 뒤 유기일(柳基一)과 후손 사찬(思贊)이 다시 필사하였다. 권두에 유기일·이사찬·정호(鄭澔)의 서와 자서(自序)가 있고, 권말에 오봉자의 발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3에 시 195수, 권4에 잠 1편, 송(頌) 2편, 소 9편, 계(啓) 3편, 서(書) 4편, 서(序) 1편, 문 2편, 별곡(別曲) 1편이 있다.

시는 정철(鄭澈)·이여송(李如松)·진린(陳璘)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서 주로 우국충정을 담아 호소하였다. 서(書) 2편은 이여송에게, 1편은 평안감사에게, 1편은 이상서(李尙書)에게 보낸 것이다.

소는 왜적 방어의 대안과 전시상황보고 등에 관한 것으로, 그 내용 가운데 심유경(沈惟敬)을 적진에 보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나 무적포(無敵砲)를 써야 한다는 주장 등은 당시의 상황을 참작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특히, 당시 조천종(曺天宗)이 발명하였다는 무적탄(無敵彈) 호진려(虎震藜)·진천뢰(震天雷)에 대하여는 그 모형을 도표로 남겨 부품마다에 설명을 붙이고, 나아가 제조방법·용도·성능 등을 비교적 소상하게 설명하여 놓았다.

맨 끝의 「백상루별곡(百祥樓別曲)」은 작자가 안주(安州)의 영위사(迎慰使)로 갔을 때, 백상루에 올라가 그 전망과 청천강 부근의 경치를 비롯하여 이름난 풍광에 대한 감흥을 읊은 한글가사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양홍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