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이조좌랑, 진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중(時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9년(중종 24)
사망 연도
1578년(선조 11)
본관
능성(綾城, 지금의 전라남도 화순)
주요 관직
이조좌랑|진주목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이조좌랑, 진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시중(時仲). 구신충(具信忠)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구이(具頤)이고, 아버지는 정랑(正郎) 구수연(具壽延)이며, 어머니는 단산정(丹山正) 이수생(李穗生)의 딸이다. 작은아버지인 군수 구수복(具壽福)에게 입양되었다.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52년(명종 7) 주1에 합격하였다. 1558년에는 주2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권지(承文院權知)로 있다가 1567년 정언(正言)이 되었다.

1568년(선조 1) 이조좌랑으로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이 되어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그뒤 다시 정언 · 수찬(修撰) 등을 거쳤다.

그러나 이듬해 이조좌랑으로 있을 때 기대승(奇大升) · 박순(朴淳) 등의 당여(黨與)였기 때문에, 인물됨이 청요직(淸要職)에는 맞지 않는다는 김개(金鎧)의 상소에 의해 주3 그 뒤 진주목사로 나가서 최영경(崔永慶)과 함께 덕천동에 터를 잡고 서원을 세우고 후진양성에 힘썼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미암일기초(眉巖日記草)』
주석
주1

진사 급제 : 『가정31년임자사마방목(嘉靖三十一年壬子司馬榜目)』(성균관대학교 존경각[B13KB-00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구변 체직 : 선조실록3권, 1569년(선조 2) 9월 14일. "헌부가 이조 좌랑 구변을 비루하다 하여 체직을 청하니 따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