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전집 ()

구전선생문집
구전선생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중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중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6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김중청의 문인 남형회(南亨會)와 손자 김양렬(金楊烈) 등이 수집하고, 현손 김이명(金爾銘)과 5대손 김태운(金泰運) 등이 교감하여 1826년(순조 26) 간행하였다. 이광정(李光庭)·김정균(金鼎均)의 후서가 있고, 김시찬(金是瓚)의 발이 있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3에 사(辭) 1편, 부 2편, 시 390수, 권4·5에 교서 2편, 소 7편, 계사 2편, 서장(書狀) 7편, 책 1편, 서(書) 11편, 녹(錄)·변(辨) 12편, 서(序) 4편, 기 2편, 발 3편, 명(銘) 5편, 권6에 전(箋) 3편, 축문·제문 39편, 행장 1편, 권7에 부록으로 연보·행장 각 1편, 만사 23수, 제문 2편, 연행증유(燕行贈遺) 24수, 시장(詩章) 1편, 상량문·봉안문·상향축문·봉안축문 각 1편, 권8에 조천록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작교도의부(作橋渡蟻賦)」는 장맛비에 떠내려가는 개미떼에게 다리를 놓아 건네주어 그 공덕으로 입신출세했다는 고사를 인용하면서 작은 선행이라도 행하면 공덕이 쌓여 의외로 좋은 일이 생긴다고 선을 권장하였다. 「임진의병시의상소(壬辰義兵時擬上疏)」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면서 여러 번 치른 격전의 상황을 상세히 보고하고, 난리에 시달리는 민생의 참혹한 모습과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병기와 식량의 조달책 등을 건의한 것이다.

「조천정예부청면연문(朝天呈禮部請免宴文)」은 1614년(광해군 6) 조천사(朝天使) 허균(許筠)의 수행원으로 중국에 갔을 때 예부에서 연회를 베풀자 그곳에 참가할 수 없는 사유를 들어 중지해줄 것을 청한 것이다. 이 글에는 중국의 외국사신에 대한 접대절차와 사신으로서의 체모를 지키려는 우리나라 수행원의 처지가 잘 나타나 있다.

「제임진년창의병총록(題壬辰年倡義兵總錄)」은 임진왜란 때 각 지방에서 일어났던 의병들의 활동내용을 총정리한 것으로,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중심으로 활약한 곽재우(郭再祐)를 비롯하여 금산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한 조헌(趙憲) 등 당시의 의병에 대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그밖에도 학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상월천선생(上月川先生)」과 「답한강선생(答寒岡先生)」 등 이황의 제자와 교환한 서간이 있고, 가뭄에 비를 내려줄 것을 역대 임금에게 청한 「종묘기우문(宗廟祈雨文)」이 있다. 「문견사건말단헌설(聞見事件末端獻說)」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앞으로 사신들이 지키고 시정해야 할 것들을 왕에게 건의한 내용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양홍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