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유고 ()

목차
관련 정보
구정유고
구정유고
유교
문헌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남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9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생존한 문신, 남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상·하 2권 1책. 활자본. 1675년(숙종 1)과 1689년에 저자의 11대손 학명(鶴鳴)·용익(龍翼) 등에 의하여 편집되었으나 간인(刊印)하지 못하고 산일(散佚)되었던 것을 저자의 20대손 일우(一祐)가 1869년(고종 6)에 재편집, 간행한 것이다. 끝에 학명·용익·일우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상권에 저자의 시 13수, 소 2편이 있을 뿐이고, 나머지는 저자의 세계·연보·유사(遺事), 그리고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문집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소(疏) 2편 중에서 1392년(태조 1) 저자가 대사헌으로 있을 때 올린 「시무소(時務疏)」는 조야(朝野)의 상황과 풍속·민심, 그리고 앞으로 해야 할 일들을 담고 있어 당시의 사정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연보는 저자 개인의 사적이라기보다 고려 말기의 국가 상황에서부터 정몽주(鄭夢周)와 정도전(鄭道傳)·조준(趙浚)·남은(南誾) 등에 관련된 기사, 위화도회군에 관한 기사들이 들어 있어서 당시의 정치 상황을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추강냉화(秋江冷話)』
『청파극담(靑坡劇談)』
『약천집(藥泉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양홍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