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학독본 ()

국민소학독본
국민소학독본
문헌
1895년 학부 편집국에서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 교과서. 국어교과서 · 수신교과서 · 국한문혼용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95년 학부 편집국에서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 교과서. 국어교과서 · 수신교과서 · 국한문혼용체.
개설

1895년 7월(음) 학부신설이후 가장 먼저 출간된 수신교과서로 실제 저자는 두 명이상으로 추정된다. 근대적 교재제작을 위해 일본의 수신교과를 참고하여 편찬하였지만, 국권이 상실되는 위기 아래에서 국권수호를 위한 애국적 인재양성의 교육취지가 적극 반영되었다. 조선정부가 서구의 근대문명을 국민교육의 지침으로 삼아 새로운 국민상을 만들려한 교재로 편찬하였다.

편찬/ 발간경위

1895년 2월 발포된 ‘교육에 관한 조칙’에는 부국(富國)의 기초적 교육과 실용적 교육이란 취지가 담겨있다. 이 조칙 하에 따라 신교육교과과정에 맞도록 사범학교나 소학교 등의 교과목으로 설정된 수신교과의 교과서가 제작되었다. 교재제작의 여건부족으로 일본 문부성에서 1888년 편찬된 초등용 『고등소학독본』(총7권)을 참고하여 편찬하였다.

서지적 사항

1책(144면 10행 20자). 한장본(漢裝本, 21.7×14.4㎝). 학부 편집국에서 1895년(고종 32)에 국한문혼용체로 간행하였다. 주는 두 줄로 되어 있으며, 목활자 학부인서체자로 인쇄되었다.

내용

저본인 일본의 『고등소학독본』 단원과 80% 이상이 동일한 한계는 있지만, 그 구성과 내용을 빌어 한국의 처지와 실정에 맞게 단원을 선별하고 조정하였으며, 필요한 내용을 발췌·요약해서 편찬하였다.

일본의 교재가 주로 유럽을 다루었다면, 미국의 문화와 생활에 비중을 둔 것이 다르다.

전체구성은 41과로 우리의 역사와 인물, 근대 생활과 지식, 서양 도시와 역사와 위인 등을 다루고 있다. 미국 관련 단원을 10과를 둔 것은 학부대신 박정양의 미국견문록 『미속습유(美俗拾遺)』과 연관지어 볼 수 있다. 1910년 11월 일제총독부에 의해 발매 금지당하였다.

의의와 평가

전근대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편찬된 본격적인 근대 수신교과서였다. 내용 중 1/3이 역사관련인 것과 ‘소학’이란 이름을 지었지만, 근대 지식과 생활내용으로 구성한 것과 일본의 선진교재를 적절히 수용하여 미국처럼 자주부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국민교육용 교재로 편찬한 데 그 역사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국민소학독본(國民小學讀本)』(학부편집국 편, 1895)
『국민소학독본』(학부 편집국 편찬·강진호 편역, 도서출판경진, 2012)
『국민소학독본(國民小學讀本)』(한국학문헌연구소 편, 『한국개화기교과서총서』 1, 아세아문화사, 1977)
「‘국어’교과서의 탄생과 근대 민족주의 :『국민소학독본』(1895)을 중심으로」(강진호, 『상허학보』, 상허학회 36, 2012)
「근대 지식 개념의 형성과 ‘국민소학독본’」(전용호, 『우리어문연구』, 2005)
「근대적 텍스트의 구조적 특성과 함의-‘국민소학독본’을 중심으로」(김혜정, 『국어교육』, 2004)
「‘국민소학독본’의 국어교과서적 구성 양상과 그 의미」(윤치부, 『새국어교육』, 2002)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강영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