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극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대사헌,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경중(敬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31년(중종 26)
사망 연도
1590년(선조 23)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대사헌|예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대사헌,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중(敬仲). 권영(權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박(權博)이고, 아버지는 종묘서령(宗廟署令) 권덕유(權德裕)이며, 어머니는 창녕조씨(昌寧曺氏)로 우찬성 조계상(曺繼商)의 주1 동생이 예조판서 권극지(權克智)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58년(명종 13) 주2에 병과로 등제, 승문원과 예문관의 벼슬을 거쳐 전적(典籍)을 지내고 정언(正言)에 올라 당시의 권신들을 탄핵하여 직언(直言)으로써 명성을 얻었다.

1566년 병조좌랑이 되고 이후 사헌부지평 · 사간원헌납 · 병조정랑을 역임하고,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으로 『명종실록』의 주3에 참여하였다. 1570년(선조 3) 부수찬이 되고 1572년 원주목사가 된 뒤 길주목사로 임명되었다가 의주에 기근이 들자 다시 의주목사에 임명되었다.

그 뒤 충청감사를 지내고 판결사 · 우부승지를 지냈으며 1581년 호조참판에 재직시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83년 함경감사에 제수되었으나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체직되었다가, 8월에 다시 직첩을 환급받고 경상감사에 임명되었으며 곧 대사성과 대사헌을 지냈다.

1588년 조헌(趙憲)의 상소에서 노수신(盧守愼) · 정유길(鄭維吉) · 유성룡(柳成龍) 등과 함께 붕당을 이루고 있다고 주4 1589년 박충간(朴忠侃)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이 역모를 꾀하고 있다고 고변하였고, 그해 겨울 행해진 도목정사(都目政事)에서 예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이듬해 이조판서에 오른 뒤 죽었다. 성격은 과묵하고 사람을 온화하게 대하였으며, 정치에 있어서는 대체(大體)를 지키고자 할 뿐 별다른 창의성은 보이지 않았다는 평을 받았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월사별집(月沙別集)』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3

명종실록 편수 참여 : 『명종실록』 1권, 편수관 명단.

주4

조헌의 상소 : 『선조실록』 22권, 1588년(선조 21) 1월 5일. "조헌의 상소를 소각하고 내리지 않았는데 거기에 실린 동·서 각인들의 관계와 행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