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재 ()

권대재 글씨
권대재 글씨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전라감사, 홍문관제학,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거(仲車)
소천(蘇川), 간은(艮隱)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0년(광해군 12)
사망 연도
1689년(숙종 15)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호조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전라감사, 홍문관제학, 호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거(仲車), 호는 소천(蘇川) · 간은(艮隱). 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예조판서 권협(權悏), 아버지는 진사 권위중(權偉中), 어머니는 신종사(申宗泗)의 주1

생애 및 활동사항

1646년(인조 24) 주2에 합격하고, 1653년 주3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선발되었다. 1658년(효종 9)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해 전적에 승진되었고, 병조좌랑 · 창평현감 등을 역임했다.

1660년(현종 1) 전라도도사 역임시 과거 시관으로서 물의를 일으켜 파직되었고, 1666년 공산판관(公山判官) 때에는 소송자를 함부로 죽였다 하여 파직되었다. 그 뒤 격화된 당쟁의 와중에서 남인으로 처신했기 때문에 정권이 바뀔 때마다 관직 생활도 평탄하지 않았다.

두 차례의 예송(禮訟)을 거친 뒤 남인이 정권을 잡자, 승지 · 영남순무사 · 대사간 · 대사헌 · 예조참판 등을 역임하면서, 송시열(宋時烈)의 처벌을 적극 주장했다. 남인이 허목(許穆)을 중심으로 하는 청남(淸南)과 허적(許積)을 중심으로 하는 탁남(濁南)으로 분열되자 청남에서 활동하였고, 1679년 청남이 정권에서 물러나면서 종성부사(鍾城府使)로 주4

그 해 10월에 전라감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경신환국이 일어나 서인이 정권을 잡자 영변(寧邊)으로 유배되었다. 그 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다시 남인이 정권을 잡자 홍문관제학으로 등용되었다. 같은 해 호조판서로 있으면서 주전(鑄錢)을 반대하였고, 송시열과 김수항(金壽恒)을 처벌할 것을 주장했다.

저서로는 『독역수차(讀易手箚)』 · 『중용변의(中庸辨疑)』 · 『사림평요(士林評要)』 · 『남위록(南爲錄)』 · 『광산록(光山錄)』 · 『용문록(龍門錄)』 · 『초산록(草山錄)』 등이 있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옥천집(玉川集)』
『병술3월○일을유식년사마방목(丙戌三月○日乙酉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貴古朝26-29-15])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十一(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사마시 급제 : 『병술3월○일을유식년사마방목(丙戌三月○日乙酉式年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한貴古朝26-29-15])

주3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十一(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4

종성부사 임명 : 『숙종실록』 8권, 1679년(숙종 5) 6월 14일. "권대재·이석관·김성구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