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덕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부제학,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치원(致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18년(중종 13)
사망 연도
1591년(선조 24)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부제학|대사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부제학, 대사간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치원(致遠). 권실(權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영(權齡)이고, 아버지는 상주목사 권박(權博)이며, 어머니는 전생서봉사(典牲署奉事) 오치정(吳致精)의 주1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37년(중종 32)에 주2에 합격, 성균관에서 행의(行義)로 의금부도사에 천거되었다. 1562년(명종 17) 주3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적 · 정언 · 헌납 등 언관직에서 활동하였다.

1571년(선조 4) 동부승지에 초배(超拜)되었으며, 좌부승지에 승진되었다. 1573년에 성절사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1575년에 황해감사를 지낸 뒤 호조참의 · 병조참의 · 이조참의 · 도승지 · 부제학 등을 거쳤다.

1579년 대사간으로서 백인걸(白仁傑)의 상소를 이이(李珥)가 대신 지은 것이 문제되었을 때, 이이를 옹호하다 대사간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1583년 부제학으로서 이이의 처벌을 주창하는 박근원(朴謹元) · 송응개(宋應漑) · 허봉(許篈) 등에 동조, 성주목사로 주4

참고문헌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포저집(浦渚集)』
『월사집(月沙集)』
주석
주1

본관 및 가계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사마시 급제 : 『미암일기초(眉巖日記草)』 第5冊, [庚午(1570) 九月十五日]

주3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七(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4

성주목사 임명 : 『선조실록』 17권, 1583년(선조 16) 7월 22일. "성낙·이희득·김효원·조원·권덕여·홍적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