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하(景賀), 호는 창백헌(蒼白軒)·남애(南厓)·계형(繼亨). 권전(權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사간 권양(權讓)이고, 아버지는 승지 권수(權𢢝)이며, 어머니는 이상응(李尙膺)의 딸이다.
1710년(숙종 36) 생원이 되고, 1713년(숙종 39)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가 되었다. 1716년(숙종 42) 검열(檢閱)이 된 뒤 대교(待敎)·봉교(奉敎)·정언(正言) 등을 거쳐 1725년(영조 1) 지평(持平)·사서(司書)·부수찬(副修撰)·수찬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교리(校理)·헌납(獻納)·이조좌랑·부응교(副應敎)를 지내고, 1727년(영조 3) 대사간, 이어 승지가 되어 1732년(영조 8)까지 이 두 직을 번갈아 가며 역임하다가 1733년(영조 9)에 이조참의가 되었다.
1738년(영조 14) 강화유수가 되어 병자호란 때 청나라 군대를 맞아 싸우다가 전사한 황선신(黃善身)·강흥업(姜興業)·구원일(具元一) 3인을 충렬사(忠烈祠)에 배향하도록 상소하였다.
1740년(영조 16) 대사헌·예조참판을 역임하고, 이듬해 도승지·전라도관찰사를 거쳐 1742년(영조 18) 병조참판이 되어 민정에 관한 단잠팔장(短箴八章)을 올렸다.
이듬해 한성부좌윤이 된 뒤, 호조참판·특진관(特進官)을 역임하고, 1745년(영조 21) 다시 호조참판이 되었다가 경기도관찰사·대사성을 지냈다.
이듬해 지중추부사로서 함경도과시관(咸鏡道科試官)으로 나갔으며, 이어서 한성부판윤·형조판서·좌참찬·예조판서를 거쳤다.
1749년(영조 25) 판의금부사, 1751년(영조 27) 우빈객(右賓客) 등 여러 요직을 역임하고, 1754년(영조 30)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계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해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저서로는 『창백헌집(蒼白軒集)』이 있다. 시호는 효정(孝貞)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