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중도 ()

퇴암집
퇴암집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퇴암집』, 『금양기선록』, 『노산자경록』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여행(汝行)
퇴암(退庵)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0년(숙종 6)
사망 연도
1722년(경종 2)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퇴암집』, 『금양기선록』, 『노산자경록』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행(汝行), 호는 퇴암(退庵). 권규(權逵)의 6대손으로,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권한공(權漢功)의 후예이다. 아버지는 권덕휘(權德輝)이며, 어머니는 장수황씨(長水黃氏)로 황호(黃皡)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8세 때 『소학』을 배우기 시작했고, 16세 때 경사자집을 모두 섭렵하였다. 평소 문장사화에는 별로 관심을 가지지 않고, 오로지 경학 연구에만 전념하였다.

1697년(숙종 23) 이현일(李玄逸)이 관북(關北)에서 희양(晞陽)으로 이배(移配)되어오자, 그의 문하에 들어가 처음에는 『논어』를 배우고, 이어 다른 경전을 배워 궁리수신(窮理修身)의 실무를 알아서 실천하도록 하여, 교도를 받은 지 수년 만에 학업에 대성하였다.

그 뒤 이현일이 유배에서 풀려나 향리로 돌아간 뒤에도 5백리 길을 자주 왕래하며 『중용』과 『대학』의 부주(附註) 가운데 모르는 것을 묻는 등 경서와 예학에 관해 계속 연찬하였다. 도한 금양(錦陽)에 살고 있던 이현일의 아들 이재(李栽)를 찾아가 문장을 강화(講話)해 더욱 정진하였다.

성리학에서도 사단칠정을 연구함에 있어 이황의 학문을 근원으로 하되, 천인성명(天人性命)의 원질을 추본(推本)해 의심스러운 것은 반드시 실행과 고증을 통해 분명히 밝힘으로써 성리학 발전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본래 정치에는 뜻이 없어 관로에는 나가지 않았고, 오직 학문 연마와 후진 양성에 진력하였다. 특히 거경(居敬)을 생활 신조로 삼고, 위기지학(爲己之學)을 닦고, 성리학을 깊이 궁구해 그 방면의 저술을 많이 남겼다.

그의 이기에 관한 견해는 이현일·이재 부자의 학통을 이어받아 주리론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이만부(李萬敷)는 그의 이기설을 읽고 평하기를 “가히 영남유종(嶺南儒宗)이라 할만하다.”고 하였다.

저서에는 『퇴암집(退庵集)』 3책과 편저에는 『금양기선록(錦陽記善錄)』·『노산자경록(蘆山自警錄)』·『낙민언경록(洛閔言敬錄)』 등이 있다.

참고문헌

『제산문집(霽山文集)』
『퇴암집(退庵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