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운경(雲卿), 호는 수은(睡隱). 찬성사 권근(權近)의 8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수 권종(權悰)이고, 아버지는 공릉참봉(恭陵參奉) 권현(權晛)이며, 어머니는 의금부도사 이희삼(李希參)의 주1
1597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주2하여 정언(正言) · 수찬(修撰) · 형조정랑 · 장령(掌令) · 교리(校理) · 사간 · 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을 거쳐, 1609년(광해군 1) 경주부윤에 승진되었다. 1613년 승지로서 계축옥사에 연루된 인목대비의 동생이며 김제남(金悌男)의 아들인 김선(金瑄)의 감형을 청하였다.
1616년 수원부사가 되고, 이어 함경도관찰사 · 한성판윤을 역임하였다. 1621년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지고, 우참찬을 거쳐 1622년 병조판서가 되어 권신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수차 탄핵을 받았다.
인조반정이 일어나 대신고관이 모두 도망쳤을 때, 김류(金瑬) · 홍서봉(洪瑞鳳) 등의 추천을 받고 홀로 제위(諸衛)의 군사를 모아 궁궐을 호위하여 공을 세웠으나, 유능함을 질시한 반정공신들로부터 계축옥사 때 형방승지로 김제남을 곤욕시켰다는 무고를 받고 양산에 주3
이듬해 공신들의 사주를 받은 경상도관찰사 민성휘(閔聖徽)에 의해 왜인과 내통하여 반란을 꾀하였다는 죄목으로 참형을 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