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부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서악동 귀부
경주 서악동 귀부
건축
개념
거북모양의 돌비석 받침돌[碑座石].
목차
정의
거북모양의 돌비석 받침돌[碑座石].
내용

거북의 잔등에 장방형의 비좌(碑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는 일은 중국 당나라 때부터 시작되어 그뒤 전시대를 통하여 성행하였는데, 그것은 거북이 만년을 산다는 장수의 상징으로서 비의 영원성을 표현하는 데 이용되었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의 석비는 대체로 비좌 없이 그대로 땅에 묻어 세우거나, 혹 비좌가 있다 하더라도 자연석을 비좌로 삼았을 뿐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 이후 당나라 석비의 영향을 받아 귀부를 비좌로 삼게 되어 그 뒤로 이러한 형태는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석비의 전형적인 형식이 되었다.

현존하는 귀부 중 가장 오래된 것은 661년에 세워진 경주 태종무열왕릉비(국보, 1962년 지정)의 귀부로서, 목을 앞으로 쭉 뻗고 눈을 크게 뜬 채 입을 다문 거북의 모습이 사실적이면서도 박진감 넘치는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다. 이러한 생기있고 박력있는 거북의 모습은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김인문묘(金仁問墓) 앞의 귀부에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8세기에 이르면 창림사지(昌林寺址) 귀부에서와 같이 거북의 머리는 점차 용머리의 형상으로 변하게 되며, 9세기 이후에는 거의 모두가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모습으로 변하고, 귀부의 표현도 사실적인 형태에서 차차 위엄있고 추상적인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양식을 계승하여 귀부는 완전히 용의 머리에 거북의 몸을 한 형태로 변하며, 조각수법이 정교하고 장식적으로 되었으나, 12세기경에 이르면 갑자기 귀부형태의 비석받침돌이 대석(臺石) 형태로 바뀌면서 차차 귀부는 사라지게 된다.

그 뒤 조선시대에도 일부 귀부가 나타나기도 하나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으며, 그 양식도 통일신라시대를 답습하고 있지만 훨씬 퇴화하고 도식화되었다. 비문(碑文)에 의하여 조성연대를 알 수 있어 조성 당시의 조각양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 』15-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신라말 고려초기의 귀부비와 부도연구」(이은기, 『역사학보』 71, 1976)
집필자
정영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