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3책. 목활자본. 1829년 후손 정은(正殷)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수항(金壽恒)의 서문과 권말에 송시열(宋時烈)·정은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제1·2책에 시 561수, 제3책에 기 5편, 소 1편, 서(書) 4편, 후서(後敍) 1편, 서(序) 1편, 설 5편, 전(傳) 1편, 묘지명 1편, 애사 1편, 조(詔) 1편, 교서 1편, 전(箋) 2편, 상량문 1편, 첩 1편, 문(問) 1편, 보유(補遺)로 서(序) 4편, 전(傳) 1편, 음기(陰記) 1편, 가장 1편, 제문 2편, 서간 2편, 사(辭)·부·잠 각 1편이 순서 없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김수항·송시열이 서문과 발문에서 밝혔듯이 뛰어나며, 각 체의 시를 고루 지었지만 이달(李達)이 감회를 적어 보낸 것에 대한 답시, 중국 장수에게 보낸 고시 등 장편이 두드러진다. 또, 즐겨 ‘주필(走筆)’이라는 제목으로 속작(速作)이면서도 명문을 구사하고 있는데, 금강산을 읊은 것은 금강산의 모습과 아침저녁으로 달라지는 풍경, 동식물 등을 유창하게 표현했다.
기의 「중수신명사기(重修神明舍記)」는 신명사를 중수하면서 물욕을 초탈하여 극기복례(克己復禮)하고자 하는 다짐을 적고 있다. 설의 「역여설(逆旅說)」은 우주에 인간이 살고 있는 것이 여관에 든 나그네와 같으며 살아 있는 동안 바르게 살아야 함을 강조하여, 스승인 조헌(趙憲)과 감가(坎坷)에 처한 자신을 변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