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목활자본. 1909년에 그의 아버지 회찬(晦燦)이 편집하고, 아들 우종(禹鍾)과 아우 재기(載祺)·재만(載萬)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의 서는 없고, 권말에 김흥락(金興洛)과 재만의 발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70수, 권2·3에 서(書) 41편, 잡저 6편, 권4에 잡저 4편, 잠 3편, 제문 9편, 권5에 애사 1편, 유사 1편, 권6은 부록으로 유사·서유사후(書遺事後)·행장·묘갈명 각 1편, 만사 6편, 뇌문 4편, 제문 8편이 수록되어 있다.
서는 매우 많은데, 거의 대부분이 예설에 관하여 주고받은 것이다. 특히, 그의 스승 유치명(柳致明)과 주고받은 여러 편은 명덕(明德)·허령(虛靈)·자기(自欺) 등 『대학』에 관한 것과 제례·상·장·복제 등 일반 예설에 관한 것을 구체적으로 물었으며, 그에 대한 답신을 그 별지 문목 아래에 부기하여 참고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잡저 가운데 「대평기문(大坪記聞)」은 『맹자』와 『중용』의 여러 부분에 관하여 스승에게 묻고, 그 답을 적어놓은 것이며, 「만록(漫錄)」은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에 관하여 쓴 것이다.
그밖에 「독중용(讀中庸)」·「기주월행법해(朞註月行法解)」·「제례오조(祭禮五條)」·「지회(志悔)」·「지감(志感)」 등이 있다. 잠에는 「입지(立志)」·「독행(篤行)」·「양기(養氣)」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