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대세지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대세지보살좌상
금동대세지보살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조선 전기의 보살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동대세지보살좌상(金銅大勢至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9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 호림박물관 (신림동,호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의 보살상.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아미타불상의 우협시보살로 추정되는 이 보살상은 구슬로 치레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정면 중심에 정병(淨甁)이 큼직하게 새겨져 있어 대세지보살상임을 잘 알려 준다.

내용

보관의 중앙에는 높고 큼직한 보계(寶髻)가 솟아 있으며, 끝을 구슬로 치레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후기 인도 보살상 내지 티베트 불보살의 보관과 유사한 모습을 보여 준다.

얼굴은 단아하고 둥글지만 이목구비에 미묘한 미소를 나타내어 고요하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를 보여 준다. 발달된 가슴, 잘록한 허리, 결가부좌한 하체 등은 단정하고 아담한 모습이다.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들은 구부렸다. 오른손은 들어 연꽃가지를 엄지와 무명지로 잡고 있으며, 연꽃 위에는 경책을 올려 놓았다. 승각기는 가슴까지 치올려 상단을 주름지게 한 뒤 띠로 묶었다. 허리에는 장식 달린 허리띠를 나타내었다. 어깨에는 천의(天衣)를 휘감았으며, 옷들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영락 장식을 전신에 휘감았는데, 목에는 중첩된 목거리로 가슴을 가리고 있고, 군의 위로 여러 갈래의 영락들이 장식되어 있다. 팔찌·손목찌 등도 영락 장식과 어울려 화려하고 무비(無比)의 보살상을 나타낸다. 이처럼 단정한 모습에 신체를 영락 장식으로 치레하는 전통은 1400년경 전후의 고려 말, 조선 초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대좌는 상대(上臺)만 남아 있으며, 홑잎의 연꽃무늬가 두 겹으로 겹쳐 있다. 밑부분에 끼울 수 있는 구멍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하대(中·下臺)가 있는 8각원형 대좌였다고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전체적으로 단아하고 정교한 금동대세지보살상으로 국립중앙박물관 금동보살상과 좌우 대칭되는 상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왕실발원의 금동상들과 함께 당시대의 특징을 반영하는 중요한 보살상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조선전기 조각양식의 연구」(문명대, 『이화사학연구』13·14,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