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보살입상
금동보살입상
조각
유물
백제시대의 보살상.
이칭
이칭
부여 규암면 출토 금동보살입상
목차
정의
백제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10.2㎝.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1959년에 부여군 규암면 신리 중뜸마을 뒷산에서 금동불좌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전면에 도금이 남아 있지 않으나 세부 표현이 정교한 전형적인 백제불로서, 광배와 함께 주조되었다.

머리 위에는 세 송이 꽃모양의 삼면관(三面冠)을 썼고 양쪽 귀에 장식적인 머리칼이 길게 늘어져 있다. 넓적한 얼굴에 비해 이목구비는 작은 편으로, 두 뺨이 팽창되었고 입가에는 엷은 미소가 서려 있다. 목에는 짧은 목걸이를 음각하였으며, 법의는 두터워 몸의 굴곡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옷자락은 여러 단의 고기 지느러미처럼 좌우대칭으로 연속되어 대좌 근처까지 늘어져 있고 천의자락은 몸 앞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었다. 오른손은 여원인(與願印), 왼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맺어 일반적인 통인(通印)과는 다른 형식인데, 모두 끝의 두 손가락을 구부리고 있다.

간략하게 표현한 발 밑에 단판(單瓣)의 연꽃대좌를 마련하였으며, 머리 위의 보주형(寶珠形)의 광배는 두 줄 음각선으로 원을 돌리고 그 가장자리를 따라 간단한 화염문을 표현하였다.

이 보살상은 부여 군수리에서 출토된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보물, 1963년 지정)과 거의 비슷한 양식적 특징을 보여주는데, 군수리상에 비하여 하체의 표현이 평면적이고 부조적(浮彫的)인 성격이 강하다. 양식적으로는 중국의 북위(北魏) 및 동위(東魏)시대의 불상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조성시기는 6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불교조각론(三國時代佛敎彫刻論)』(강우방, 국립중앙박물관, 1990)
『한국(韓國)의 불상(佛像)』(진홍섭, 일지사, 1976)
「부여규암면출토백제불보살상(扶餘窺巖面出土百濟佛菩薩像)」(황수영, 『미술자료』8, 국립중앙박물관, 196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곽동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