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조각
유물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보살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보살상.
내용

높이 15.2㎝. 황규동(黃圭董) 소장. 광배와 대좌를 잃고, 왼쪽 천의(天衣)자락 일부가 떨어져나갔으나 전반적으로 도금이 양호하게 남아 있다. 얼굴은 길고 살이 올라 풍만한 모습인데, 이목구비가 작게 표현되어 고졸(古拙)한 느낌을 주며, 머리 위에는 얕은 삼면관(三面冠)을 쓰고 있다.

목에는 굵은 융기선의 꽃모양 테가 달린 목걸이를 표현하였다. 신체는 훨씬 길어져 안정감 있는 모습인데, 나형(裸形)의 상체는 두툼한 가슴에 비하여 허리가 잘록해져 건장한 느낌을 준다. 천의는 어깨 위에서 양팔에 걸쳐 몸 좌우로 물결치듯 흘러내렸으며, 몸 앞에서는 U자형으로 드리워져 있다.

하체에 걸친 치마인 군(裙)은 허리에서 한 번 묶어 접었으며, 치마가 얇아 양다리의 윤곽을 뚜렷이 드러난다. 양다리 사이로는 한 줄의 긴 영락(瓔珞)이 늘어져 있다. 왼손은 허리 위에서 팔목을 굽혀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고, 오른손은 가만히 늘어뜨려 손바닥을 구부린 모습이다.

정면을 향한 두 발 밑에 대좌의 일부가 달려 있다. 이와 같이 정면관의 엄격한 직립의 자세와 얼굴표정, 육중한 천의자락에서 고졸한 수법이 엿보이나, 균형잡힌 신체비례와 율동적인 팔의 구조 등 부분적으로 새로운 중국당나라 양식의 요소도 나타나고 있어 조성시기는 통일신라 직후인 7세기 후반 경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불상(佛像)』(진홍섭, 일지사, 1976)
『韓國金銅佛硏究』(松原三郎, 東京 吉川弘文館, 1985)
집필자
곽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