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7.75㎝. 개인 소장. 1960년 말 부여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데, 삼국시대의 금동나한상으로서는 유례가 드문 것이다. 대좌를 잃고 왼쪽 머리부분이 일부 손상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도금이 양호하게 남아 있고 각 부분의 조각 또한 선명하다.
두 손은 가슴 앞에 모아 합장한 자세인데, 신체는 가늘고 긴 반면 머리와 발은 크게 표현되었다. 머리는 삭발을 하였고 두 눈은 지그시 감아 명상에 잠긴 모습이며, 코는 오똑하고 크며 입을 꼭 다물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이러한 둥근 얼굴의 표정과 삭발한 머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 나한상 특유의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귀는 길지 않으나 큰 편이다. 승복은 몸에 밀착되어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었으며, 몸 앞에서 한 가닥 옷 끝을 길게 늘어뜨리고 좌우로 몇 가닥의 간단한 선각(線刻)으로 옷주름을 새겼다. 옷자락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고, 끝단은 수평으로 잘려서 큼직한 발목을 드러내고 있다. 두 발은 발끝을 비스듬히 벌린 안정된 모습이며, 발 밑에는 대좌의 일부가 남아 있다.
상의 뒷면에는 간략한 옷자락을 표현하였다. 비록 작은 상이지만 조각수법이 견실하고 나한상의 성격묘사에 성공한 작품으로서, 이 상의 단순성과 입체감 있는 조형성, 훨씬 길어진 신체비례의 특징은 7세기 전반기 불상양식을 반영한 것이다. 세련된 작풍과 함께 출토지가 부여로 전해짐에 따라 백제불로 추정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