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승상 ()

목차
관련 정보
금동승상
금동승상
조각
유물
삼국시대의 나한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의 나한상.
내용

높이 7.75㎝. 개인 소장. 1960년 말 부여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데, 삼국시대의 금동나한상으로서는 유례가 드문 것이다. 대좌를 잃고 왼쪽 머리부분이 일부 손상되었으나, 전체적으로 도금이 양호하게 남아 있고 각 부분의 조각 또한 선명하다.

두 손은 가슴 앞에 모아 합장한 자세인데, 신체는 가늘고 긴 반면 머리와 발은 크게 표현되었다. 머리는 삭발을 하였고 두 눈은 지그시 감아 명상에 잠긴 모습이며, 코는 오똑하고 크며 입을 꼭 다물어 근엄한 표정을 짓고 있다. 이러한 둥근 얼굴의 표정과 삭발한 머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 나한상 특유의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귀는 길지 않으나 큰 편이다. 승복은 몸에 밀착되어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었으며, 몸 앞에서 한 가닥 옷 끝을 길게 늘어뜨리고 좌우로 몇 가닥의 간단한 선각(線刻)으로 옷주름을 새겼다. 옷자락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고, 끝단은 수평으로 잘려서 큼직한 발목을 드러내고 있다. 두 발은 발끝을 비스듬히 벌린 안정된 모습이며, 발 밑에는 대좌의 일부가 남아 있다.

상의 뒷면에는 간략한 옷자락을 표현하였다. 비록 작은 상이지만 조각수법이 견실하고 나한상의 성격묘사에 성공한 작품으로서, 이 상의 단순성과 입체감 있는 조형성, 훨씬 길어진 신체비례의 특징은 7세기 전반기 불상양식을 반영한 것이다. 세련된 작풍과 함께 출토지가 부여로 전해짐에 따라 백제불로 추정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상』(진홍섭, 일지사, 1976)
『한국의 미 』10-불상-(황수영 감수, 중앙일보사, 197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곽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