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여래 좌상 ( )

목차
조각
유물
삼국시대의 불상.
이칭
이칭
뚝섬출토금동여래좌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의 불상.
내용

높이 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59년서울 성동구 뚝섬에서 발견된 것으로 우리 나라 초기 불상의 범본(範本)으로 추정된다.

석가불(釋迦佛)로 생각되는 이 불상은 어깨를 조금 구부리고 턱을 앞으로 당겨 고개를 숙인 모습에, 결가부좌하고 선정인(禪定印 : 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놓은 손 모양)의 수인(手印)을 함으로써, 명상에 잠겨 참선(參禪)하는 모습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체구에 비하여 큼직한 두부(頭部)는 입체적이며 정교하게 표현되었고, 머리 위에는 육계(肉髻)가 솟아 있다. 얼굴은 둥근 편으로 고졸한 미소가 가득하며 눈은 명상에 잠긴 듯 반쯤 뜬 모습이다. 상체는 무릎 위에서 넓어지다가 어깨 부분에서 삼각형으로 좁아져, 네모반듯한 대좌와 함께 중후하면서도 안정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목 언저리에 반원형으로 표현한 옷깃 아래로 역삼각형의 굵직한 옷주름 네 겹이 새겨져 있다. 양 팔목에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빗겨 올라가면서 굵직한 옷주름을 표현하여 상 전체에 강렬한 인상을 더해 주고 있다. 양 팔목을 감싸고 좌우로 늘어진 옷자락도 몇 가닥의 중첩된 옷주름으로 주름 잡혀 있다.

사각형의 대좌 정면 좌우에는 사자를 비사실적으로 새겼는데, 이러한 대좌 형식은 인도의 간다라 조각에서 유래되어 4세기 중국 불상에서 크게 유행된 형식이다. 머리 뒤에는 머리광배를 꽂았던 광배촉(光背鏃)이 달려 있으며, 등 뒤에는 어깨 위에서 왼쪽으로 벗겨 내려오는 몇 가닥의 단순한 옷주름을 새겨 놓았다.

상 전체에 엄격한 좌우의 균제(均齊)가 반영된 이 금동불은 유물이 남아 있지 않은 4세기 말에서 5세기 말경의 우리 나라 초기 불상 양식의 단면을 알려 주는 예로서 그 의의가 큰 작품이다.

양식적으로는 400년경 중국 북부에서 크게 유행하였던 선정불좌상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중국 불상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깍지낀 손 아래로 동심원적으로 주름잡힌 옷자락의 표현이나 중간에서 한 번 접혀진 목깃의 표현이 보이지 않고 대좌의 사자도 형식화되어 있는 등 중국 불상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중국 불상을 범본으로 하여 국내에서 주조되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참고문헌

「독도출토금동불좌상」(김원룡, 『역사교육』 5, 1961)
『한국미술사』(김원룡, 범문사, 1968)
『한국의 불교』(진홍섭, 일지사, 1976)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삼국시대불교조각론』(강우방, 국립중앙박물관, 1990)
집필자
곽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