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산사 석종 ( )

목차
관련 정보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후면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후면
건축
유적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고려전기에 조성된 석종형 불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있는 고려전기에 조성된 석종형 불탑.
내용

높이 2.27m.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금산사 경내의 북쪽으로 송대(松臺)라고 부르는 고대(高臺)가 있고, 이곳에 이 석종형탑파(石鐘形塔婆) 1기가 있으며, 그 앞쪽에 오층석탑이 건립되었다.

기단은 2단으로 매우 넓어서, 하층기단은 한 변의 길이가 12.5m, 높이가 0.8m이며, 상층 기단은 한 변의 길이가 8.5m, 높이가 0.6m의 방형이다. 이 기단은 대석 · 면석 · 갑석으로 되었고, 상하층 면석에는 불상과 신장상(神將像)이 조각되었는데 그중에는 후대에 조성된 것도 끼여 있다.

하층 기단 네 면에 석주가 남아 있는 점으로 보아 난간을 둘렀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 석주에는 기이한 인물상이 조각되어 있다. 돌난간 네 귀퉁이에는 또 사천왕석상을 세워놓았다.

이 석단 중앙에는 한 장의 판석이 탑신을 받치고 있는데, 판석의 네 귀퉁이에는 사자의 머리만이 밖을 향하여 조각되었고, 그 중심에 탑신 굄의 몰딩(moulding : 테두리장식)이 있는 주위로 복판연화(複瓣蓮花)가 둘러져 조각되었다.

탑신은 평면원형의 종형으로 하부의 주위에는 화문대를 둘러, 범종의 구연대양식(口緣帶樣式)과 흡사하다. 정상에는 9마리의 용이 조각되었는데, 머리부분만 밖을 향하여 돌려져 있다. 그 위에 앙련이 조각된 2매석이 있으며, 정상에 보주석이 얹혀 있다.

이와 같은 석종형의 탑파는 신라시대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는 인도의 불탑형식에서 연유된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반적으로 석종으로 불려오고 있음은 그 외형이 범종과 비슷한 데서 온 호칭이다.

또한, 이 석종은 넓은 기단을 갖추고 있는데, 이와 같은 형식은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의 금강계단, 경기도 개성 불일사(佛日寺)의 계단 등에서 볼 수 있다. 기단에 조각이 있고, 돌난간을 두르고, 사천왕상 등을 배치하여 장엄을 다하고 있어, 이것은 불사리를 봉안한 사리계단(舍利戒壇)으로 해석되고 있다.

더욱이 탑 앞에 방형의 오층석탑이 있어 이를 입증한다. 경기도 여주 신륵사의 보제존자석종비(보물, 1963년 지정)와 같은 고승의 묘탑은 바로 이러한 석종형에서 영향을 받았을 것이지만, 조성 연유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점이 있다.

이와 같은 석종형의 탑은 고려시대에 몇 기의 예만 남겼으나, 조선시대에 와서 크게 유행하였다. 이 탑은 그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조형이 정돈되었고, 조각 또한 아름다운 수법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國寶 7-石造-(鄭永鎬 編, 藝耕産業社,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