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

목차
유교
인물
조선 전기에, 장령, 시강관, 응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경(子敬)
복재(服齋), 양덕(陽德)
시호
문민(文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92년(성종 23)
사망 연도
1521년(중종 16)
본관
행주(幸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응교
관련 사건
기묘사화|신사무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장령, 시강관, 응교 등을 역임한 문신.
내용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자경(子敬), 호는 복재(服齋) · 덕양(德陽). 아버지는 응교(應敎) 주1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1513년(중종 8) 사마시에 주2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주3, 사관(史官)을 거쳐 홍문관정자에 임명되었고, 박사를 역임한 뒤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스승 조광조의 노선을 견지했으며, 사경(司經)으로 있을 때에는 임금에게 효제(孝悌)의 도리를 다할 것을 건의하였다.

1516년 저작(著作)으로 천문이습관(天文肄習官)을 겸했으며, 검토관(檢討官) · 수찬(修撰) · 검상(檢詳) · 장령(掌令) · 시강관(侍講官)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는 이성언(李誠彦)이 임금을 속이고 부정을 저질렀다 하여 이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고, 또한 당시 대각(臺閣)이 이를 묵인하였음을 논박해 훈구파(勳舊派)인 남곤(南袞) · 심정(沈貞) 등으로부터 질시의 대상이 되었다.

1519년 응교가 되어 마침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를 위시해 김식(金湜) · 김정(金淨) 등과 함께 하옥되고, 이어 아산으로 정배되었다가 이듬 해 죄가 가중되어 다시 온성으로 이배되었다. 어머니상을 당해 고향에 돌아갔다가 1521년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신사무옥(辛巳誣獄)이 터져 다시 유배지에 가서 교살되었다.

시에도 능해 『해동시선』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등에 시가 수록되어 있다. 온성의 충곡서원(忠谷書院), 아산의 아산서원(牙山書院), 고양의 문봉서원(文峯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주4 · 『무인기문(戊寅紀聞)』 · 『덕양일기(德陽日記)』 등이 있다.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1545년(인종 1)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참고문헌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중종실록(中宗實錄)』
『퇴계집(退溪集)』
『해동시선(海東詩選)』
『정덕8년계유8월20일생원진사방(正德八年癸酉八月二十日生員進士榜)』(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玉山門中典籍)-사마방목(司馬榜目)[보물 제524호])
주석
주1

본관 및 부친 : 『국조문과방목』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2

사마시 급제 : 『정덕8년계유8월20일생원진사방(正德八年癸酉八月二十日生員進士榜)』(여주이씨 옥산문중 전적(驪州李氏玉山門中典籍)-사마방목(司馬榜目)[보물 제524호])

주3

문과 급제 : 『국조문과방목』 卷之六(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주4

기준 저술 : 『복재선생문집(服齋先生文集)』(전주대학교 중앙도서관 OM 810.819-기772ㄷ)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