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자경(子敬), 호는 복재(服齋) · 덕양(德陽). 아버지는 응교(應敎) 주1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1513년(중종 8) 사마시에 주2하고 이듬해 별시문과에 주3, 사관(史官)을 거쳐 홍문관정자에 임명되었고, 박사를 역임한 뒤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다. 스승 조광조의 노선을 견지했으며, 사경(司經)으로 있을 때에는 임금에게 효제(孝悌)의 도리를 다할 것을 건의하였다.
1516년 저작(著作)으로 천문이습관(天文肄習官)을 겸했으며, 검토관(檢討官) · 수찬(修撰) · 검상(檢詳) · 장령(掌令) · 시강관(侍講官)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는 이성언(李誠彦)이 임금을 속이고 부정을 저질렀다 하여 이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고, 또한 당시 대각(臺閣)이 이를 묵인하였음을 논박해 훈구파(勳舊派)인 남곤(南袞) · 심정(沈貞) 등으로부터 질시의 대상이 되었다.
1519년 응교가 되어 마침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조광조를 위시해 김식(金湜) · 김정(金淨) 등과 함께 하옥되고, 이어 아산으로 정배되었다가 이듬 해 죄가 가중되어 다시 온성으로 이배되었다. 어머니상을 당해 고향에 돌아갔다가 1521년 송사련(宋祀連)의 무고로 신사무옥(辛巳誣獄)이 터져 다시 유배지에 가서 교살되었다.
시에도 능해 『해동시선』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등에 시가 수록되어 있다. 온성의 충곡서원(忠谷書院), 아산의 아산서원(牙山書院), 고양의 문봉서원(文峯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주4 · 『무인기문(戊寅紀聞)』 · 『덕양일기(德陽日記)』 등이 있다.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으로 1545년(인종 1) 신원되어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민(文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