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철 ()

해동진신도상 중 김상철 초상
해동진신도상 중 김상철 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사보(士保)
화서(華西)
시호
충익(忠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12년(숙종 38)
사망 연도
1791년(정조 15)
본관
강릉(江陵)
주요 관직
영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사보(士保), 호는 화서(華西). 김득원(金得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홍주(金弘柱)이고, 아버지는 판돈녕부사 김시혁(金始爀)이며, 어머니는 이기정(李箕禎)의 딸이다. 아들이 김우진(金宇鎭)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33년(영조 9) 사마시를 거쳐, 1736년 정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지평(持平)·교리(校理)를 지냈다.

1757년 충청도관찰사에 이어 대사간·한성부판윤을 지냈고 이조·형조·병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그 뒤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766년 우의정에 이어 좌의정·영의정에 올랐다. 학덕이 뛰어나 영조의 신임을 받았다. 우의정 때 우리 나라의 문물·제도를 부문별로 망라한 문헌의 필요성을 느껴, 왕에게 건의하여 찬집청(纂集廳)을 두어 1770년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를 편찬하게 하였다.

한편, 1771년에는 『명사(明史)』에 실린 강감합찬(綱鑑合纂)에 조선왕실의 계보가 잘못 올라 있다는 대간의 상소가 있자, 자진해서 선계변무사(璿系辨誣使)로 북경에 가서 그 책의 개인소장을 금하겠다는 청나라의 약속을 받고 돌아와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을 편집, 간행하였다. 1781년(정조 5)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다.

1786년 아들 김우진(金宇鎭)이 숙종이 소론 윤선거(尹宣擧) 문집을 훼판(毁板: 책을 만들려고 글자를 새긴 나무판을 없앰)한 병신처분(丙申處分)의 잘못을 지적하고, 소론 조태구(趙泰耉)·유봉휘(柳鳳輝)를 옹호한 죄로 제주도에 유배될 때에, 김상철도 아들을 단속하지 못하였다는 죄목으로 삭탈관작되었다. 죽은 뒤 정조의 조처로 복관되었고, 충익(忠翼)의 시호를 받았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경산집(經山集)』
『국조방목(國朝榜目)』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