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희의 묘 ()

목차
관련 정보
대전 김익희 묘 정면
대전 김익희 묘 정면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김익희의 무덤.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김익희의묘(金益熙의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봉토묘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대전광역시 시도기념물(1989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 유성구 대덕대로 507-150 (가정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김익희의 무덤.
개설

17세기를 대표하는 문장가이자 서인계 정치인으로 활동한 문신 김익희와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의 합장 묘소이다. 1989년 3월 18일에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고, 광산김씨 창주공파 문중에서 창주사적공원으로 만들어 보존, 관리하고 있다.

내용

김익희(金益熙, 1610∼1656)의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자는 중문(仲文), 호는 창주(滄洲)이다. 대사헌 김계휘(金繼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장생(金長生)이고, 아버지는 김반(金槃)이다. 김반의 여섯 아들 중 둘째로 태어나 계곡(谿谷) 장유(張維)와 기옥(畸翁) 정홍명(鄭弘溟)에게 고문(古文)을 배웠다. 1633년(인조 1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부정자 · 검열을 지내고 홍문록(弘文錄 : 홍문관의 교리 · 제학 등을 선발하기 위한 제1차 인사기록)에 올랐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척화파의 한 사람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가 독전어사(督戰御使)가 되었다. 1653년(효종 4) 노산군(魯山君)의 묘소에 제사지낼 것을 청하여 시행케 하기도 하였다. 1656년(효종 7) 대제학에 올라 명실공히 대학자로서 조선 중기 학문을 대표하였다.

봉분의 직경은 8m이고, 높이는 3m, 197㎝ ·119㎝ ·33㎝ 크기의 장석 좌우에 장대석을 4개씩 쌓아 묘역을 조성하였다. 봉분의 왼쪽에는 묘비가 있는데, 이수에는 두 마리의 용이 매우 특이한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높이는 215㎝, 폭 82㎝이다. 봉분의 좌우에는 망주석 1쌍과높이 169㎝, 폭 50㎝, 두께 40㎝의 한 쌍의 문인석(文人石)이 있다.

창주사적공원 어귀에는 비각이 있다. 비각 안에는 신도비와 더불어 1기의 묘비가 있다. 묘소 우측에 있는 묘비는 근래 새로 조성한 것이고, 이곳에 있는 마모가 심한 묘비가 원래의 것이다.

신도비는 1712년(숙종 38) 11월에 건립된 것으로 규모는 높이 410㎝, 비신 높이 250㎝, 폭 93㎝, 두께 43㎝이다. 비문의 내용은 송시열이 짓고, 비문의 글씨는 김수증(金壽增)이 썼으며, 전액(篆額)은 김진규(金鎭圭)가 썼다. 묘 아래에는 재실(齋室) 긍사재(肯思齋)이 있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한밭전통의 맥』3(대전광역시, 1992)
『문화유적총람』(문화재연구소, 문화재관리국, 1977)
「창주 김익희(1610~1656)의 정치활동」(지두환, 『한국학논총』 37, 2012)
「창주 김익희의 도의사상」(송인창, 『韓國思想史學』 20, 2003)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