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득황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판예빈성사, 추밀원부사, 형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금성(錦城)
주요 관직
판예빈성사 겸방호사|추밀원부사|형부상서
정의
고려 후기에, 판예빈성사, 추밀원부사, 형부상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금성(錦城). 삼한공신 대광(大匡) 나총례(羅聰禮)의 9대손이며,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나유(羅裕)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최우(崔瑀)가 선지사용별감(宣旨使用別監)으로 삼아 지방에 파견하였는데, 이때 주구(誅求)가 심하여 백성이 괴롭게 여겼다.

그 뒤 최항(崔沆)에게 아첨하여 장흥부사(長興副使)가 되었다가 전라안찰사가 되었다. 1260년(원종 1) 정월에 장물죄로 파면당한 송소(宋紹)를 대신하여 제주부사(濟州副使)가 되었는데, 현지에 이르자 사람들이 “제주는 옛적에는 작은 도적을 겪었는데 지금은 큰 도적을 만났다.”고 하였다.

그 다음달 경자(庚子)에 제주부사·판예빈성사(判禮賓省事)로서 방호사(防護使)를 겸하였는데, 이는 제주가 바다 가운데 큰 진(鎭)으로 송상(宋商)과 왜(倭)의 내왕이 잦아지므로 유사시에 대비하여 취해진 것이다. 1263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가 되었으며, 관직이 형부상서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나각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