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서성문 안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나주 서성문 안 석등 정측면
나주 서성문 안 석등 정측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나주 서성문 안 석등(羅州 西城門 안 石燈)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나주시 고분로 747 (반남면, 국립나주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등.
내용

보물 제364호. 높이 3.27m. 원래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읍성의 서문 안에 있었는데, 1929년에 경복궁으로 옮겨졌다가, 경복궁 복원 계획에 따라 현재는 용산으로 옮긴 국립중앙박물관 뜰에 세워져 있다.

석등은 단면이 8각으로, 널찍하고 네모난 바닥돌 위에 서 있다. 8각의 아래받침돌은 윗단과 아랫단으로 구분된다. 아랫단은 옆면에 각 모서리마다 모서리 기둥이 가지런히 새겨져 있고, 각 면에는 가운데 아랫부분에 귀꽃 무늬가 새겨진 안상(眼象)이 오목새김되어 있다. 윗단에는 2장의 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 8개가 새겨져 있으며, 그 위로 2단의 받침이 간주(竿柱)를 받치고 있다. 가운데받침돌인 간주는 단면 8각의 기둥으로, 각 면에는 가장자리에 테두리를 둘렀는데, 그 안에는 1줄씩의 명문(銘文)이 오목새김되어 있어 주목을 끈다. 윗받침돌 역시 2단으로 조성되었는데, 밑면에 2단의 굄을 둔 아랫단에는 2장의 꽃잎이 위로 솟아 있는 앙련(仰蓮)의 연꽃무늬 8개가 돋을새김되었지만, 윗단에는 별다른 장식이 없다.

불을 켜 놓은 부분인 8각의 화사석(火舍石)은 파손되었기에 새로 만들어 올려 놓았다. 다만, 이전 것을 따라 4면에는 화창(火窓)을 두었다. 8각의 지붕돌은 여느 석등의 지붕돌과 달리 퍽 장식적인 모습이다. 곧 각 면의 처마 끝에는 마치 장막(帳幕)을 늘어뜨려 놓은 것처럼 세로줄 무늬가 새겨져 있고, 각 모서리의 전각(轉角)은 삼산형(三山形)의 귀꽃으로 장식되었으며, 각각의 귀꽃 사이에도 타래무늬[卷文]와 귀꽃무늬가 조각되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하나의 돌로 이루어진 보개(寶蓋)가 놓여 있는데, 상당히 마멸되어 완전하지 못한 상태이다. 다만 약간 남아 있는 무늬를 살펴보면, 대체로 지붕돌과 비슷한 모습이었던 듯하다. 보개 위에는 새로 만들어 올린 보주(寶珠)가 얹혀 있다.

이 석등은 신라 석등의 기본 양식인 단면 8각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세부 조각은 둔중해 보이고, 특히 지붕돌에는 공예적인 기법이 더해졌다. 가운데받침돌에 새겨져 있는 명문에 따라 1093년(선종 10)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석등』(박경식, 학연문화사, 2013)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한국 석등 양식』(정명호, 민족문화사, 1994)
『국보』7 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4)
『한국의 미』15 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한국의 석등」(진홍섭,『문화재』2, 문화재관리국, 1966)
「한국석등목록」(정명호,『고고미술자료』13, 한국미술사학회, 1965)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