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3책. 목활자본. 1914년에 아들 성묵(性默)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전우(田愚)·이은경(李殷璟)의 서문과 권말에 성묵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36수, 권2에 소(疏) 1편, 서(書) 3편, 서(序) 9편, 기 7편, 논 1편, 설(說) 10편, 전(傳) 1편, 제문 9편, 권3·4는 잡저로 사의(私議) 1편, 세미문답(世味問答) 1편, 이적변란(夷狄變亂) 1편, 서원훼철(書院毁撤) 1편, 격유일인서(檄諭日人書) 1편, 출처지변(出處之辨) 1편, 지도지론(止盜之論) 1편, 빈약지고(貧弱之故) 1편 등 49개항에 달하는 논변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행장·묘지·묘표 각 1편과 저자의 아우 병옥(秉鈺)의 유저인 『죽사유고(竹史遺稿)』가 합본되어 있다.
시 중에는 이이(李珥)의 수학모범인 입지(立志)·검신(檢身)·거학(居學)·독법(讀法) 등 16개항을 시로 읊은 「율곡이선생학교모범십육조(栗谷李先生學校模範十六條)」가 있다. 이(理)·기(氣)·심(心)·성(性)으로부터 시(視)·청(聽)·언(言)·동(動)에 이르는 28개 덕목을 칠언절구로 읊은 「당중음(堂中吟)」이 이색적이다.
잡저에서는 헌장(憲章)·군정(軍政)·작위(爵位)·전폐(錢幣)·법령·명분(名分)·양형(量衡)·부렴(賦斂)·저축·성보(城堡)·이단(異端)·성학(聖學) 등 여러 분야에 걸친 혁신책(革新策)을 제시하고 있으며, 「격유일인서」·「일설변(日說辨)」 등에서는 왜인들의 불성실함을 들어 그들을 경계할 것을 주장하였다.
답객난(答客難)이라 하여 「창의(倡義)」·「신구학(新舊學)」 등 모두 12항에 이르는 문답식 논변도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데 좋은 참고자료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