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두 ()

목차
도교
개념
남방에 두형(斗形)을 이루고 있는 7개의 별을 가리키는 도교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방에 두형(斗形)을 이루고 있는 7개의 별을 가리키는 도교용어.
내용

도교에서는 천상(天上)에 동·서·남·북·중의 5두(斗)를 지정하여 경배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남두는 남극노인성(南極老人星)을 신격화한 남극장생대제(南極長生大帝)의 통치 아래에 6개의 부서가 있는 큰 관청같이 여겨지고, 그 직장(職掌:직무상의 맡은 일)은 주로 인간의 수명과 운명을 관리한다고 생각한다.

각 부서의 장을 진군(眞君)이라 하며, 진군이 직권을 장악하고 영관(靈官)들을 지휘, 통솔하는데, 그 명칭은 천부(天府)·천상(天相)·천량(天梁)·천동(天同)·천추(天樞)·천기(天機)이다. 직무는 사명(司命:사람의 운명·화복)·사록(司錄:사람의 선악 등 규찰)·연수(延壽:기도에 의한 수명의 연장)·익산(益算:정성 정도에 따른 수명의 연장)·도액(度厄:재액 구제)·상생(上生:삶의 조화) 등을 각각 맡아 본다.

남두에 대한 초제(醮祭:별을 향하여 지내는 제사)는 성단(星壇)을 베풀고 등촉을 밝혀 도사가 발원자를 대신해서 초례를 지내며, 이 때의 의식은 다른 초례와 비슷하다.

초제의 순서는 먼저 분향 재배하고 삼청상성(三淸上聖)을 비롯한 각 성군(星君)을 중심으로 삼계사부무앙성중(三界四府無央聖衆), 곧 만성천진(萬聖千眞)까지 불러 그들에게 남두 초례를 지내는 사연을 상주(上奏)한다.

그리고 나서 남두의 육성을 차례로 불러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네 자 혹은 여섯 자를 맞추어 짓는 한문. 일명 四六文이라고도 함)의 고문(告文)과 사언(四言) 또는 십사구(十四句)로 된 찬영을 낭송한다.

우리 나라에는 북두 초제에 관한 기록에 비하여 남두 초제는 거의 보이지 않는데, ≪고려사≫ 세가에 의하면 고려 때 남두 초제를 지냈고,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箋散稿≫ 권9 <이두하강변증설 二斗下降辨證說>에 약간의 언급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
『해동전도록(海東傳道錄)』
『해동이적(海東異蹟)』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