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4.8m. 현재 대웅전 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석탑의 북쪽에는 법당터가 있고, 주변에는 석등의 부재(部材)와 석탑의 상륜부(相輪部) 석재, 여러 석조물의 조각 등이 놓여 있다. 따라서 절은 남향한 1탑 가람 배치를 하였고, 석탑의 위치는 현재의 자리가 원래의 자리로 보인다.
석탑은 2층 받침돌 위에 3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올리고서 머리장식인 상륜부를 장식한 모습이지만, 현재 상륜부는 하나도 남지 않았다. 무너져 있던 것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며, 받침돌의 일부와 1층 몸돌, 지붕돌의 전각 부분에 약간의 훼손이 있으나 원형은 대체로 잘 남아 있는 상태이다.
바닥돌과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은 각 면마다 하나의 돌로 이루어졌으며, 4장의 널돌을 네모나게 놓았다.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에는 좌우로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으며, 그 사이에 2개의 가운데 기둥이 돋을새김되었다. 아래층 받침돌의 덮개돌은 4장의 널돌로 짜여졌으며, 윗면에는 둥글고 각진 2단의 굄을 마련하여 윗받침돌의 면석을 받치게 하였다. 윗받침돌의 면석도 4장의 널돌로 조립되었는데, 모서리 기둥과 함께 1개의 가운데 기둥이 새겨져 있다. 윗받침돌의 덮개돌 또한 4장의 널돌로 구성되었는데, 아랫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있고, 윗면에는 다른 돌로 2단의 각진 굄대를 마련하였다.
탑신부(塔身部)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하여 올렸다. 각 층의 몸돌에는 좌우에 모서리 기둥이 가지런하게 새겨져 있고, 지붕돌 아랫면의 받침은 4단이다. 지붕돌의 추녀는 직선이지만 네 귀퉁이의 전각(轉角)에 반전이 있어서, 평박(平薄)해 보이는 낙수면과 잘 어우러져 경쾌한 느낌을 준다.
이 석탑은 지붕돌 윗면에 2단의 굄을 두어 몸돌을 받치게 한 것과 함께 받침돌의 구성, 세부의 수법으로 보아, 9세기 경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아래층 받침돌의 면석에 2개의 가운데 기둥을 새긴 것은 지리산 주변 지역에 있는 석탑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